Pro gamer or Pro streamer?

In the current age of online gaming and esports, you cannot ignore the influence of ‘the most popular games’ of today.

To be acknowledged as part of a popular game, it has to be well known among most groups within our society, regardless of age and region. Of course, the game itself has to be easy to approach, mild in complexity and most importantly, fun.

In the history of all game development, you cannot justify all of the games which failed to keep up with its userbase as ‘bad games’. But it’s clear that all the bad games would eventually fail to keep up with anything.

As of writing this article, the most popular games with all aspects noted above can be narrowed down to a number you can count on your hand. One of them which succeeded to remain on the top is League of Legends aka LOL. Nowadays, it is very easy to expect when someone mentions that they’ll become a game streamer, most likely they’ll be playing LOL.

Popular online game by Riot Games, League of Legends.

One critical matter about streaming LOL is that people often fall under the illusion which, by streaming, the popular game at the time would also help increase their followers.

No matter which streaming platform you may choose to be on, playing the most popular game naturally means that it is already a red ocean and the competition within the market is overflowing. Twitch is a well-known streaming platform to host many LOL streamers around the world. The variety of LOL streamers are usually either really good at the game, or just casually playing to kill time.

Just to rephrase, if you’re going to stream LOL today, you’ll have almost zero chance of getting any viewers at all.

So what will you do to draw attention and viewers to your stream? There are infinite ways to stream gaming content on the internet. For this one time, we’re going to ignore the technicalities and knowhows but focusing on the quality of the contents and personalities. While it’s not easy, but some LOL streamers have found ways to get more viewers by just playing the game, without having to advertise or promote their channel.

The viewers somehow get drawn into their un-human like controls and movements. Some viewers also want to mimic their gameplay as much as they can. Some actually want to become like them as their goal in life. These streamers can use magical abilities where each stroke and click of their mouse seems majestic and inspirational to their viewers.

They have proven that by playing their favorite game, they create value and meanings to many people out there. Of course, they didn’t just magically become like that in the first place. They have studied the game than most other people and have found ways to play these games in the most efficient manner.

We call them Pro-Gamers.

If you’ve been following the LOL scene for a while, you will be familiar with some of the players’ names such as MadLife from CJ Entus, Ambition from Blaze and of course, Ruler of Gen.g and Faker of SKT T1.

As of March 2020, Faker’s Twitch follower numbers go well over 2.2 Million. This number is way higher than some of the most influential streamers’ follower numbers combined. Becoming a pro-gamer may help and boost them to be equipped to become a top streamer, but just to become a pro-gamer to eventually aim for becoming a top streamer isn’t the most effective path to take.

The time and effort that goes into becoming the world’s best pro-gamer itself is never an easy task that anyone could dare to risk and sacrifice their current lifestyle for.

Can you have the best aim and control of Blitzcrank like MadLife? Try to even mimic the controls of Ambition’s Jarvan IV? Dare to compare yourself to Faker’s Leblanc?

Would you even come close to shadow any of their experiences and practice to your amount of time you’ve allocated for LOL? Think about it realistically and almost all of you would realize that you’ve had a late start, to begin with.

So does that mean that all top LOL streamers are pro-gamers? Think about the question for a minute and you’ll know that it’s an easy question to answer. So how do those non-pro-gamers make it to the top of the streamer grid?

Like I mentioned at the start, there are infinite methods of streaming games. Just like the stars of the night sky, there are so many ‘good’ streamers on the internet. There are those who honed the skills to draw viewers to their stream without having to be good at the game. These chosen few have rightfully categorized them in the line of ‘Entertainers’.

It may sound a bit unrealistic, but there is a popular phrase called ‘Just do it’.

The complexity of the competition to become one of the top streamers isn’t really organized in a textbook fashion, which is why everyone starts with uneven balance, different backgrounds, culture, region, and language but somehow, some way, they get there. It could be a creative way of playing games, or even really really bad at the game, or it could be something not even related to League of Legends at all.

Popular inspirational video by the actor; Shia LeBeouf

They all share a common aspect at least, which is that they’re comfortable with entertaining their viewers by being funny and never-ending audio through their microphones. They’ve shared the most extrovert aspect of communication is the most introvert culture of content creation on the internet, which is streaming.

Achieving this feat is not to be compared from those who are pro-gamers becoming top streamers as they’re equally difficult and require much-needed training to make it their second nature.

Be mindful that the viewers will surely see some comedy content from these not-so-good-at-games streamers, but the emotions that these streamers get from losing in lanes or getting ganked in League of Legends is very real. By delivering these genuine reactions to the viewers could be the reason why they appreciate the streamer by their personality, not by their skills in games.

In conclusion, there are so many genres in games, so as the variety in streaming content. Find your own method to stream and check if what you’re planning is something that you like doing, to begin with. Make sure you’re enjoying your own streaming session and the viewers will appreciate your true nature.

About the author:
BurnoutFighter is an esports all-rounder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in production, event planning, and tournament organization. He is an active tournament competitor in major events such as Evo, Sea Major, Combo Breaker, CEO and many more around the world.

인터넷 방송 자택근무와 위생관리

2020년 3월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의 공포가 전 세계 사회 모든 분야를 뒤덮고 있다. 이스포츠 또한 예외가 아니다.

한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인 LCK는 스프링 시즌을 무관중 중계로 진행하다, 확산 여파로 인해 리그 중단 후 잔여 경기를 온라인으로 진행한다는 초강수를 두었고, CPT, TWT 등 세계의 여러 격투게임대회 스케쥴 또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미 연기, 취소된 대회 갯수도 상당하고, 하반기에 일정이 있어서 아직 취소되지 않은 대회들도 앞날이 어둡다. 전 세계 격투게임 대회 중 가장 커다란 규모를 가지고 있는 EVO가 취소 또는 연기를 선언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하필 대학의 개강 시즌에 이런 사태가 발생하는 바람에, 한국 대부분의 대학교는 원격 스트리밍 강의를 통해 학기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바뀐 대학가 사회상과 관련하여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여러 재미있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여러 대기업에선 자택근무를 실시하고 있으며, 화상 컨퍼런스, 모바일 오피스 등의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다행히 통신 화상기술의 발전으로, 2020년 현재는 여러 사회 구성원들이 가정에서 업무를 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편이다.

인터넷 방송 스트리머는 가정에서 업무를 진행하는 대표적 직종 중 하나이다. 스트리머는 대부분 여러 편의적 사유로 인해 방송 스튜디오를 자택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전문적인 스튜디오 공간을 따로 운영하는 스트리머도 있으나, 그런 경우는 보통 해당 공간에서 스트리밍 이외의 다른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이다.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를 사용하여 인기 방송 플랫폼에 송출하여 교육 및 업무를 진행할 수 있고, 스카이프 (Skype), 줌 (Zoom), 행아웃 (Hangout) 등의 컨퍼런스 서비스로 프레젠테이션, 동영상, 이미지 등을 공유하고 회의를 할 수 있다.

또한 엑스플릿 브이캠을 사용하면 크로마키 장비 없이 배경화면을 투명하게 하거나 배경화면을 완전히 대체하여 어질러진 방 등을 흐리기 효과를 적용하여 타인의 시선에서는 깔끔한 환경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엑스플릿 브이캠으로 방송 및 컨퍼런스 환경에 맞게 배경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직업 특성상 외출이 잦지 않은 인터넷 방송 스트리머라고 해도, 특히 이런 시기에는 평소에 개인위생관리에 신경쓰는 편이 좋다. 질병에 걸려 방송을 할 컨디션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방송을 하지 못하는 기간 모두는 고스란히 손해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사회 전반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이 한창인 만큼, 자신의 주된 방송 컨텐츠가 야외 활동이었을 경우엔 여러 여론과 자신의 환경을 고려하여 대체할 컨텐츠를 마련해 보아야 한다.

외출 후 손 씻기 같은 기본적인 위생 수칙 이외에도, 스트리머는 합동방송 같은 컨텐츠를 위해 타인과 밀접한 거리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팬 미팅 같은 집회는 정부의 권고대로 최대한 자제하도록 하고, 중지나 연기 계획시엔 필히 공지를 띄운다. 자신의 스튜디오 내부에서 타인과의 수 시간의 밀접한 접촉이 예상될 경우, 자신이 방송에 사용하는 용구를 방송 전후로 소독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가정에서 가장 사용하기 좋은 소독약은 두 가지로써, 락스, 알코올이다. 염기성 용액인 락스는 단백질을 분해하고, 유기용매인 알코올은 지방질을 녹인다. 괜히 특정 용도에 맞춰서 나온 비싸고 구하기 힘든 소독약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적정 용량을 용법에 맞춰 사용하기만 한다면 이만큼 좋은 소독법이 없다. 손이 많이 닿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약식으로 청소할 때에는 알코올을 묻혀서 닦고, 키보드 등의 키캡을 분리하여 락스 희석액에 담가 두면 확실한 소독 세정효과를 보장한다. 알코올은 재질을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락스는 금속에 대해 반응하므로 스테인레스 이외의 금속에 사용하지 말자.

현재 유행인 코로나바이러스-19 (COVID-19) 는 지방질 피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70% 이상의 에탄올 소독이 효과를 보인다고 한다. 알코올은 세척 시 다량을 사용해도 극단적으로 밀폐된 공간이 아니라면 빨리 증발하기 때문에 치명적으로 위험하진 않으나, 락스는 사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표기되어 있는 용법을 반드시 지키고, 사용 시 마스크를 꼭 착용하자.

21세기가 된 지도 벌써 20년이 지났으나, 우리 세대는 이번 세기에 한 번도 보지 못한 사태를 경험하고 있다. 본인 또한 한 사람의 이스포츠 시청자로써, 취소된 수많은 경기와 리그들에 대해 울분을 머금고서 최대한 빨리 이번 감염병 사태가 종식되길 바라 본다.

#엑스플릿 #엑스스플릿

Working from home with XSplit Broadcaster – Giving a Presentation

With more and more people working remotely or working from home, making a presentation that’s both informative and effective can be tough.

If you’re clicking around tabs on a browser, fiddling with desktop programs while trying to show your camera and the presentation during a Zoom call isn’t easy, or is it? If you couldn’t tell, right here is where I let you know “Hey, there’s an XSplit for that!”

Broadcaster to be exact. I’m going to tell you how you can spice up those online presentations with a little bit of XMagic (that’s XSplit’s patented magic, which makes a lot of assumptions about you considering broadcasting software magic. In our opinion, you should, but enough about magic, for now…)

Once you’ve downloaded and installed XSplit Broadcaster; click the application to open and you’ll be greeted with the starting screen. Click Presentation and you’ll see a bunch of ready-made scenes. Each scene is like an advanced slide for your presentation so go ahead and click around! It’s like we wanted to make this easy for you, huh? Nice big text with instructions, looking all easy and stuff! Well, it is! First things first, if you have made an already snazzy looking presentation on your computer using something like PowerPoint or online using one of Google’s many options or, ya know, other ones, (hey, I don’t know all the presentation software, I’m the XSplit guy, remember?) open it up! Now, back to XSplit.

Things will open on a scene that says Desktop Capture with Webcam. From here you should now see the window you had open, and XSplit giving you a pretty rad infinite loop effect. Don’t worry! If you minimize it, it’s gone! If you’re using two monitors you can also drag XSplit to the second monitor. To capture exclusively from the monitor your browser is on, right-click Desktop Capture and select which desktop you wish to pull from, but let’s just stick with what we have for now! You can also change the name in the frame around your webcam, just right click on Text in the Sources window and change it! We can also hide the introductory text by clicking the eye symbol next to it! See, I told you, magic! Real Magic!

Setting up your webcam is easy. Right-click, where it tells you to right-click to select your webcam and choose XSplit from the list of all the webcams connected and installed on your computer!

If you want to change the text under your webcam, right-click where it tells you to in the Sources Menu and type your text. This scene is great for when you still want to make eye contact with everyone in the presentation and add the element of intimacy you’d have giving the presentation in the room. Don’t want that? Well, head on over to our next scene which is just Desktop Capture.

This will work exactly the same but without the camera. People will still hear you and they will see whatever you see on your monitor. Speaking of hearing you, XSplit Broadcaster should have selected your default microphone but let’s double-check at the jump! Head to Tools, Settings, Audio and select the device you want XSplit to use for your Microphone.

There is also a scene labeled presenter camera. This is great when you’re addressing everyone without visuals and just want to talk. This is the same as you set up your webcam. Go ahead and right-click on things and make them work! There’s also a handy pre-presentation scene that you can have going when you first connect to your call. This is great if you want to have your microphone muted (click the little microphone symbol above the sources menu) and make sure you’re ready to go! Just be sure to click unmute when you begin the talk!

So, from here, you have one simple and slick-looking way to do your presentation set up and ready to go! You can use the presentation like normal: within the browser, as a full-screen camera, or picture in picture with XSplit Broadcaster handling everything!

To use this in a meeting using Google Hangouts, go to the settings and select XSplit Broadcaster as your camera.

For Skype, it’s exactly the same, head to settings and simply select XSplit Broadcaster as your camera! Make sure that you are using Skype for Desktop, not the pre-installed version that comes with Windows 10.

We hope this takes a lot of the stress out of giving your presentation when working remotely or from home. And this is merely the beginning, XSplit Broadcaster has a ton of features and functions that you can add – upping your production value and fun to your future presentations. We have a bunch of tutorials for just that! Want something like this in your next presentation?

XSplit Broadcaster can do that! Good luck and be sure to check around the website for more things you can do with XSplit Broadcaster

RTMP (외부장치 연결) 송출 사용법

RTMP 를 사용한 인터넷 방송 연결법 입니다. Real Time Messaging Protocol 의 약자이며 우리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방송 플랫폼에 로그인으로 인증’ 의 개념과는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인터넷 방송 송출 연결방식 입니다.

일단 각 인터넷 방송 플랫폼 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의 RTMP 정보를 먼저 찾아야 합니다. 모든 인터넷 방송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편리하도록 일반적인 로그인 및 비밀번호 입력으로 본인을 인증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고유 URL 주소가 각 유저마다 주어집니다. 인기 방송 플랫폼들은 대부분 지원하는 정보입니다. 유튜브, 트위치, 카카오, 아프리카, 페이스북 등의 플랫폼에서는 각자 자신의 계정 정보란 또는 방송 송출 관련 대쉬보드에서 RTMP 정보를 찾으신 뒤, 사용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 설정란에 알맞게 입력만 하시면 됩니다.

​아프리카 TV 에서는, 자신의 방송국 페이지 메뉴에서 외부장치 방송 설정 메뉴를 찾아 클릭하시면 RTMP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tv 에서 본인의 계정으로 로그인 한 뒤 나오는 관리 페이지 메뉴에서 ‘외부 장치 방송 설정’ 메뉴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 에서는 본인의 계정 대쉬보드에서 ‘실시간 라이브’ 관련 메뉴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트위치 에서는 계정 설정란의 ‘채널’ 메뉴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방송 암호’ 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RTMP 정보는 두가지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스트림 키 (Stream Key 또는 Stream Name) 와 스트림 주소 (Stream URL, Server URL 등) 을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에서 RTMP 플랫폼 추가 후 해당 입력란에 복사 + 붙혀넣기로 연결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트위치는 송출 서버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으나, RTMP 의 경우 수동으로 링크를 입력해야 합니다.

트위치 서버 링크는 여기를 클릭하여 확인하세요

필수로 채워야 하는 부분과 화질 설정을 위한 코덱 및 비트레이트 설정도 잊지 마세요.

RTMP 정보는 타인에게 유출되면 타인이 본인 방송 주소에 송출을 하는 경우가 초래되니 반드시 철저한 보안을 하셔야 하고 절대 공유하시면 안되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추가 이해를 돕기위해 관련 영상 가이드도 첨부하겠습니다.

#엑스플릿 #엑스스플릿

Now trending: Remote work and working from home

There’s a growing number of professional workforce that’s opting to work remotely these days. In an article, it mentioned that this is a trend that will change how companies establish their workplace and workflows.

Being able to work anywhere changes how it can be done, regardless of location and circumstance. With a working laptop or tablet (or even your smartphone) and a decent internet connection – you’re good to go whenever and wherever you are in the country or overseas.

Now, let’s take a look at how this trend is changing our workplace dynamics.

With SplitmediaLabs, developers of XSplit being a Global company and having employees all over the world, we have personnel remotely working from home and or shared co-working spaces.

Similar to most companies, in order to diversify and create a flexible working environment – remote work and working from home posed as a good alternative to traditional work in a cubicle and/or in an office.

Not being able to report directly to the office should not be an excuse to get capable and dependable staff to leave our companies due to negligible and personal circumstances, right?

This work alternation has allowed numerous people to gain and maintain work, and at the same time – have time for their families and friends.

Remote work can be great when done well. But it can also be very challenging with the constant distractions that come from self-managing your productivity from home. So, here are some things to consider when opting for the work from home benefit.

Personal discipline

While I’m a strong believer in you do you – I believe that working by yourself without supervision requires a lot of discipline and you will require yourself certain boundaries for yourself during work hours.

It’s tempting to sleep in a little more since there’s no commute to worry about, but it helps that you set yourself a designated time to wake up and prepare yourself for work.

Say, if your work starts at 9:00 AM and ends at 5:00 PM; set yourself up for waking at least an hour before you begin your tasks so that you can give yourself time to fully wake up and prepare yourself for the day ahead.

You don’t want to be scrambling around early in the morning, would you? 

Setting up blocks of time to accomplish certain tasks can be helpful too. I’m a firm believer in the debt snowball method. In this method, people are looking into settling their debt – tackling the smallest to largest amount as needed.

Setting little wins to get you going and not give up your end goal. The same with tasks, when working by yourself. When tasks pile up, you are most likely to get stressed and confused about which one to complete first.

You can use the main idea for the snowball method with the Eisenhower Matrix, deciding which tasks to prioritize.

You can start working on which ones you need to get done now. And get smaller tasks out of the way – giving you more time to complete more difficult and bigger tasks.

For those who are not fans of the freestyle checklist method, the Pomodoro technique might be for you. I also learned to call it time blocking. Set 25-minute intervals to get a task done and have 5-minute breaks in between, as explained in the infographic below:

Aside from making sure that you have all your tasks listed according to priority with a set deadline you’ve made for yourself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deadline or not); now, let’s talk about personal hygiene.

Yep, personal hygiene

How tempting is it to just wake up from your sleep, get your laptop and start your working day in your PJs and an unwashed face.

To work from home successfully, it’s required to have a semblance of a structure for yourself and your mental wellbeing. While there may not be other people around to see you, and the temptation for working in your underwear is there, it’s still important for your productivity (and for those potential emergency video calls) to take care of yourself. In short,  don’t be a slob.

Brush your teeth, take a shower, wear a fresh set of comfortable loungewear and have your breakfast before work, not during. This way you can also minimize the chance of getting distracted by completing your task or worrying about your coffee getting cold. (Editor’s note: though seriously, drink cold brew instead)

Available technology

These days, the company is sure to issue a laptop or device suited for your tasks. 

In most cases, you most likely have the equipment and software ready but your internet connection might still be quite a challenge, especially in parts of the world where fast home internet is still difficult to come by. Data connectivity can vary wildly per location, if this is a problem for you, it might be a good idea to open this conversation with your IT personnel or direct manager. You can be issued a pocket hotspot or VPN access (a virtual private network) to make work more seamless.

Effective communication

Make sure that you have what you need to be able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your teammates and your manager. It would be nice to have an update at least once a day on the progress of your current and ongoing tasks.

You have apps available on your phone, tablet or computer to make communicating easier. Skype, Discord, Slack, Google Meet, and productivity apps like Trello, Hootsuite, and etc.

Your location might not be ideal when making professional calls. Taking meetings at a cafe or maybe you were not able to clean up your room prior to the call can be a hassle. There are background removal tools out there, but we feel that our XSplit VCam is one tool that you can easily use regardless of circumstances, thanks to its powerful background replacement, removal, and blurring.

These are just a few short tips to make working from home that little bit more bearable, sometimes losing the structure of working at an office can be disruptive not only to your productivity but your mental wellbeing too. So make sure to take extra care when starting your day, eat well, have the right tools at disposal and complete your work with the same level of dedication as you would from home. 

Are you also working from home or remotely from your workplace? Do you also use background removal tools for your video conference calls?

Share with us your thoughts on working from home. Don’t hesitate to share with us in our socials and forum if there are tips that we missed.

나는 프로게이머 인가 아니면 엔터테이너 인가

2020년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를 제외하고는 인터넷 게임 방송을 설명하기 어렵다. ‘인싸겜’ 이라는 말이 있다. 신조어이므로 사전적 정의는 없으나, 나름대로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PC 방에서 가장 인기있는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는 친구들과 함께 플레이 하기에 적합하다.

어느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누구나 알고 있는 인지도를 가지고 있고, 플레이 접근성도 좋은 대중적 게임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물론 게임 자체도 재미있어야 한다. 이 기나긴 게임사 속에서 여태껏 망한 게임 모두가 재미 없는 건 아니었지만, 재미 없는 게임은 여지없이 모두 망했다. 현재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게임의 레벨에 있어서 최상위층에 위치한 게임이 바로 리그 오브 레전드이며, 보통 누군가가 특정한 종목을 얘기하지 않고 ‘게임 방송을 시작하겠다’ 라고 얘기한다면 그것 자체가 리그 오브 레전드 방송을 할 것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으로 인해 리그 오브 레전드를 스트리밍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난점을 가지고 있다. 레드 오션 중의 레드 오션이다. 인터넷 방송사를 가리지 않고 (트위치, 아프리카 등.) 리그 오브 레전드가 최상위 뷰어수를 확보하고 있으며 (오로지 믹서만이 이 광풍에서 한 발짝 벗어나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게임 방송을 한다는 사람 중엔, 잠깐 쉬어가는 시간으로라도 리그 오브 레전드 방송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드물다.

다시 말해 리그 오브 레전드 방송을 할 경우, 시청자들이 당신의 방송을 보러 올 확률은 극히 낮다는 뜻이다.

그럼 어떻게 하여야 남들이 내 방송을 보게 할 수 있을까? 게임을 스트리밍하는 방식엔 여러 가지가 있다. 여기서는 기술적인 측면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컨텐츠적인 측면에 대하여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어떤 부류의 리그 오브 레전드 방송은 굳이 시청자수를 늘리려고 방송 외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타 스트리밍과 비교하여 엄청난 수의 시청자를 확보하는 경우가 있다.

사람들은 그들의 플레이를 조금이라도 더 보고 싶어하며, 자신이 게임을 할 때에도 그들을 최대한 따라하려고 하고, 그들처럼 게임하기를 바란다. 그들은 그들의 플레이 그 자체로 사람들을 매료시키며, 그들은 게임 플레이 자체로 이 사회에서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다는 것을 여러 차례 증명하였으며, 그들은 누구보다도 이 게임을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을 알고 있고, 그것을 실제로 실천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재능을 가지고 있으나, 그 재능을 빛내기 위해 재능 이상의 노력을 한 사람들이다.

사람들은 그들을 일컬어 ‘프로게이머’ 라고 부른다.

조금 예전부터 리그 오브 레전드를 지켜봐 오던 사람이라면 CJ 엔투스의 매드라이프, 블레이즈의 앰비션, 그 이후로 보기 시작한 사람이라면 SKT T1의 페이커, Gen.g의 룰러 등, 굳이 이름들을 줄줄이 외지 않아도 우리는 그들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2020년 2월 현재 페이커의 트위치 계정 팔로워 수는 220만을 넘어가며, 이는 내가 알고 있는 다른 모든 트위치 스트리머의 팔로워 수를 합친 것보다 많다. 프로게이머가 되는 것은 내 방송을 살리기 위한 효과적인 길처럼 보인다. 허나 내 스트리밍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서 프로게이머가 되겠다는 것은, 굳이 그들처럼 게임을 하는 데에 필요한 능력과 거기에 따르는 고생을 줄줄이 늘어놓지 않아도, 그리 효율적인 일은 아니라는 것은 알 수 있다.

당신은 매드라이프처럼 블리츠크랭크를 플레이하고, 앰비션처럼 자르반 4세를 플레이하고, 페이커처럼 르블랑을 플레이할 자신이 있는가? 만일 그렇게 할 수 없다면, 그렇게 될 수 있을 때까지 시간과 노력을 얼마나 들여야 할까? 조금만 생각해도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일인 것이다.

그렇다면 게임 방송계에서 소위 ‘흥한 방송’ 들은 모두 프로게이머들일까? 이것 또한 조금만 생각해봐도 아니라는 답이 나오는 질문이다. 절대 그렇지 않다. 그럼 이 프로게이머들의 반대편에선 어떤 개성있는 스트리머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을까?

게임 방송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잘 하는 사람들은 저 하늘의 별처럼 너무나도 많다. 이 ‘뻔한’ 길을 택하지 않고도 게이밍을 통해 여러 사람을 즐겁게 할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는 자들, 자신의 개성을 찾아낸 사람들, 세간에선 그들을 ‘엔터테이너’ 라고 부른다. 엔터테이너가 되는 방법에 대해서 논하기는 어렵다.

좀 억지스러운 답변으로 보이지만 소위 이런 말이 있다. 일단 ‘되면 된다’. 궤도에 올라가기까지의 방법은 사람마다 다 다르다. 스트리머 자신의 매력일 수도 있고, 어이없는 게임 플레이 방법일 수도 있고 (게임을 너무나도 못하는 방송도 나름대로 매력이 있다. 단, 정말로, 너무나도 못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그냥 단순히 인맥일 수도 있고, 여기 전부 설명하기엔 지면이 부족할 정도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조금 옛날 얘기이긴 하지만 리그 오브 레전드 엔터테이닝 방송의 예시로는 더 전설적이었던 스트리머들이 존재했다. 그들은 게임을 잘 하는 것도 아니었고 말솜씨가 뛰어난 것도 아니었다. 그들의 티모와 노틸러스는 정상 궤에서 한참 벗어난 플레이로, 보는 사람들을 폭소에 빠트렸다. 게임 안의 플레이어들이야 괴로울 지 몰라도 멀리서 보면 코미디인 것인데, 어차피 인터넷 방송이야 모두 원격으로 시청하니까 자연스럽게 꽤 괜찮은 코미디가 연출되는 것이었다.

게임의 장르가 다양한 것처럼, 게임 방송의 장르도 충분히 다양할 수 있다. 자신에게 어떤 길이 맞는 것인지, 내가 하고 싶은 방향과 내가 할 수 있는 방향이 일치하는지에 대해 충분히 고민하여 보고, 내 방송의 방향성을 잡는 것이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엑스플릿 #엑스스플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