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19 사태의 장기화로 인하여, 여러 직업군으로 된 기업체들이 자의 반 타의 반에 의하여 재택근무를 실시하고 있다. 제조업이나 건설업, 공연, 요식업과 같이 현장 업무가 존재하는 직종 같은 경우엔 어쩔 수 없이 경제 한파를 온몸으로 맞이해야 하지만, 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과 같이 원격으로 성과를 공유 가능한 직종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를 진행할 수 있다.
온라인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한국 지역리그인 LCK 같은 경우에도, 2라운드 일정을 각 선수단의 숙소에 리그 진행 측 참관인이 방문해, 온라인상으로 리그 경기를 시행하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미 항공우주국(나사·NASA)은 3월 20일부터 재택근무를 진행하여, 화성 지표면 탐사활동을 벌이고 있는 탐사로봇 큐리오시티를 원격조작하는 데에 성공하였다는 뉴스를 발표하였다. 여러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기업체 운영에 있어 필수적인 부분인 회의, 여러 학회의 콘퍼런스도 원격 화상을 통하여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위 예시 같은 경우는 코로나바이러스-19 사태로 인하여 재택근무로 변경된 직업들이며, 그래픽 디자인, 세무, 인터넷 스트리밍, 번역 같은 수많은 직종들이 이전부터 많은 직업들이 재택근무로 진행되어 오고 있었다. 여러 영역에 걸쳐 있는 직종들이지만, 한 가지 공통점을 꼽는다면, ‘데이터’를 다루는 일이라는 걸 꼽을 수 있겠다. 데이터를 창출하여 필요한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다루지 않는 재택근무자 유형을 꼽자면 직접 뭔가를 제작하여 판매하는 가내수공업 정도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을 상사나 동료와의 마찰에서 해방시킨 재택근무는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업무 진행에 들어가는 자원을 아낄 수 있다는 점을 꼽는다. 이동이나 시설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 소모가 절약되고,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근무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직원들의 스케줄 관리도 보다 간편하다.
게다가 재택근무는 안전하다. 이것은 애초에 요사이 사회 곳곳에 재택근무가 활성화된 근본적인 원인이 된 장점으로써, 물리적으로 위험 요소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이불 밖은 위험해’라는 인터넷 유행어처럼, 근무자가 겪을 수 있는 여러 산업재해를 예방시켜 주는 효과를 가진다. 언급한 것처럼 근무자 간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것도 눈여겨볼 사항이다.
세상 일이 다 그렇듯이 모든 면엔 장단점이 공존한다. 재택근무의 대표적인 단점으로는 근무자들의 업무 집중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꼽을 수 있다. 각 직원마다 자기관리 능력이 차이가 날 수밖에 없으므로, 직원 간 업무 역량에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개인 공간에서 업무를 진행할 경우 업무 시간과 개인 시간을 분리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으며, 동료 직원들의 도움을 실시간으로 받기도 어려우므로 업무의 진척도 또한 늦어질 수 있다. 이는 사업체의 전체 생산성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업무 현장의 장비를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도 재택근무의 큰 단점 중 하나이다. 업무와 장비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를 연상하는데, 회사에서 사용하는 고성능의 워크스테이션 또한 현장 장비라고 볼 수 있다.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는 IT 업계라고 할지라도,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와 개인용으로 사용하던 컴퓨터는 성능의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고, 개인용 컴퓨터로 진행하는 작업은 많은 경우 업무 효율을 떨어트린다. 자료 보안 등의 요소에도 악영향을 준다.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를 사용하여 집에서 소유하고 있는 컴퓨터로 직장 동료들과 상사들에게 보고 및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코로나바이러스-19가 변화시킨 세상의 모습은 지금 우리들이 보기에 매우 절망적이며, 어쩌면 우리들은 우리 생애 두 번 다시 오지 않을 대사건을 겪고 있는지도 모른다. 지금 세상의 모습은 우리가 이전에 생각하던 2020년의 미래와 많이 다르다. 지금까지 언급한 재택근무 같은 경우도 그중 하나이며, 온 세상에서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모습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이미 코로나바이러스-19 사태로 인하여 많은 문화들이 현재 변화했으며, 이후 어떤 식으로 어떤 문화가 또 변화해 나갈 것인지 눈여겨볼 일이다.
인터넷 방송의 설정은 너무나도 많은 부분에 의해 천차만별의 설정법이 존재한다. 정말 간단하게 생각한다면,
내 방송 품질은 내 PC 사양에 비례한다.
– 울며 겨자먹기 수준
물론 이러한 실질적인 문제가 현실이기도 한 PC 사용자분들이 대다수이기에, 이를 고려하며 저사양 PC (서양식 언어유희로 Potato, 즉 감자로 만들어진 볼품없는 컴퓨터)에서도 인터넷 방송을 할 수 있도록 방송 프로그램에 자동 설정 같은 기능들이 존재한다.
세계 최강의 인공지능 컴퓨터도 1.1 볼트의 전기가 흐르는 감자에서 기생하는 장면. – 포탈 2
방송 프로그램의 ‘자동 설정’ 기능은, 당시 사용자가 직접 해상도, 화질, 프레임률, 비트 레이트, 코덱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없다는 가정하에 저사양 설정을 선택하면 다양한 설정 변수들 중에서 저사양 컴퓨터에서의 가장 최적화된 방송 설정을 골라주곤 한다.
게다가 PC 사양 외에 인터넷 속도 및 환경, 그리고 가장 중요한 당시 플레이할 게임의 최소 사양에 따라, 방송 설정이 아무리 최적화되었다 하더라도 이 두 가지 요소 때문에 자체적 ‘저사양 설정’ 내에서도 다시 한번 천차만별의 변수가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게임의 최소 사양이라고 하면 게임을 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PC 스펙이 아니라 게이머가 해당 게임을 플레이할 때 불편함 없이 수월하게 게임의 순수 의도를 경험할 수 있는 최소한의 사양이다. (즉 기술적인 최소 사양에서는 게임이 아무리 버벅대고 끊겨도 실행만 된다면 최소 사양에 해당한다. 하지만 누가 끊기고 버벅대는 게임을 하면서 ‘즐겁다’라고 자신 있게 말하겠는가.)
이어서 아쉽게도 버벅대고 끊기더라도 하고 싶은 게임을 그렇게라도 플레이하는 게이머 분들도 분명 존재한다. 여기서 더욱 안타까운 것은, 이러한 게임을 실행함과 동시에 방송까지 진행하게 된다면 가까스로 실행했던 게임도 하기 힘들어질 것이며 결국엔 컴퓨터가 먹통이 되거나 하여 기분까지 언짢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리하여 저사양 컴퓨터는 게임 방송을 할 때 할 수 있는 게임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 제한되기까지 한다는 점이다.
시청자의 입장에서 보면 방송 시청은 타인의 컴퓨터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서도 시청이 가능하다. 모바일 기기로 봤을 때 아무리 최고급 품질로 시청한다 하더라도 PC에서 보는 것과는 다른 환경이기 때문에 모바일 시청자들은 품질의 우선시보다는 일단 ‘볼 수 있구나’ 정도로 만족한다. 휴대성이 더 강조되기 때문에 모든 모바일 시청자들이 품질에 대한 피드백은, 방송인의 이목구비, 게임의 캐릭터 및 문구들이 ‘잘 보이기만 한다면’ 큰 문제 될 것이 없다.
저사양 컴퓨터로 방송을 하며 항상 시청자들에게 양해를 구하기보다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대한 최적화된 방송 환경을 만들어보는 노력을 조금만 실행한다면 나의 방송 분위기와 게임 플레이의 스트레스도 덜 할 수 있으며 시청자들도 화면 품질과는 상관없이 방송을 지속해 주는 나를 응원해 줄 것이라 믿는다.
방송 프로그램의 설정을 건들거나 실행하기도 전에 원활한 성능에 도움 줄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 있다.
첫째, 방송 준비 완료 후 반드시 컴퓨터 재부팅을 한다.
한창 컴퓨터를 사용하여 인터넷 등 다른 작업을 하고 있다가 방송 준비를 하고 바로 방송을 송출하게 되면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메모리 누적으로 인해 방송 프로그램처럼 큰 용량을 필요로 한 프로그램이 실행되기에는 그다지 깨끗한 환경이 아닐 수 있다. 이 경우는 고사양 PC에서는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니지만 저사양 PC를 가지고 계신 분들을 고려하여 언급하는 부분이다.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그래픽 디자인 또는 영상 편집 프로그램도 비슷한 콘셉트이라 보면 된다.
컴퓨터를 재부팅 하게 되면 메모리가 초기화되어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에서 무엇이든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내가 몰랐던 잠재적 오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도 컴퓨터 재부팅으로 해결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드라이버, 그래픽 코덱, 인터넷 환경 등 컴퓨터의 모든 구석구석을 탐지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라서 한 가지 톱니바퀴가 고장 나면 모든 게 무너질 수 있지만 큰 고장이나 윈도우 운영체제에 의한 오류가 없는 이상 컴퓨터 재부팅을 하여 이를 모두 알맞게 교정해 줄 수 있다.
둘째, 안 쓰는 프로그램은 모두 삭제하거나 종료한다.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 지침서 중에 가장 기본적이 요소이지만 이는 방송 프로그램 실행에도 크게 작용한다. 당연히 하드디스크에 여부의 용량이 어느 정도 있어야 ‘가상 메모리’라는 윈도우의 기능이 적용된다 하면 방송 프로그램 및 PC의 전체적인 성능이 더욱 원활하게 실행된다. 꼭 필요한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 및 음성 채팅 프로그램 그리고 당연히 플레이하는 게임 외에 데스크톱에서 투명하게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모두 종료하고 방송을 시작하는 습관을 가지면 장기적으로 원활한 환경에서 방송할 수 있다.
작업 관리자에서 시작프로그램 실행 유무를 설정하면 보다 쾌적한 컴퓨터 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인터넷 브라우저는 필요한 웹페이지 외에는 모두 종료한다.
인터넷 방송에 필수적인 요소는 인터넷 브라우저 그 자체이기도 하다. 내 방송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대시보드와 채팅창을 띄워놓고 그리고 방송 알림 서비스의 기록을 확인해야지만 팔로워, 후원 등의 기록을 확인하며 소통해야 한다. 여러 가지 편의 기능들이 있지만 이중 가장 필요하면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종료해야지만 그마저도 부족한 PC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고작 인터넷 창 몇 개에 얼마나 메모리 사용 여부가 다른 프로그램에 영향을 가는지 궁금하다면 지금 당장 작업 관리자를 열어서 비교해보면 한다. 보통 실행된 게임과 방송 프로그램이 가장 큰 비율의 CPU, 메모리 사용량을 가져야 하지만, 인터넷 브라우저도 만만치 않을 수 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로 유튜브, 트위치, 이메일, 커뮤니티 등을 켜놓았는데 방송 프로그램과 비슷한 CPU 사용량, 방송 프로그램보다 3배가량의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다.
인터넷 브라우저 ‘구글 크롬’ 이 방송 프로그램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2. 방송 프로그램에서의 최적화
방송 프로그램에서의 다양한 설정을 알아보고 그에 비례한 품질도 예측할 수 있다.
첫째, 해상도와 프레임률이 설정의 절반 이상이다.
저사양의 컴퓨터에서는 1080p (1920 x 1080 해상도) 60fps (초당 60프레임) 송출 자체가 무리일 수 있다. 게다가 내가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의 그래픽 설정이 1080p 해상도에 60fps 가 아닐 수도 있으니, 이를 무리하여 고해상도로 송출한다 해도 게임의 시각적인 품질이 좋아지는 것은 절대 아니다.
대부분의 캐주얼한 게임들은 720p 30fps로 송출하여도 큰 문제는 없다. 특히 고전게임 또는 캐주얼한 게임을 주 콘텐츠로 한다면 저사양 설정으로도 쾌적한 게임 경험과 방송 품질이 될 수 있다.
둘째, 비디오 코덱.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송출하는 것은 마치 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항상 렌더링을 돌리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송출 화면을 실시간으로 인코딩 할 때 지정해 주는 코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기본적으로는 CPU 메모리를 사용하는 x264 코덱과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코덱이 있다. (NVIDIA 계열은 NVENC, AMD 계열은 VCE를 사용한다.) 인텔 CPU를 사용할 경우 QuickSync 코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인텔 계열 통합 그래픽 코덱은 아직 송출에 추천하지 않는다.
방송 프로그램에서의 코덱 설정을 하기 전에 반드시 내가 사용하고 있는 그래픽 카드의 제어판에서 알맞은 3D 품질의 구성요소도 조절한다면 금상첨화이다. (예: NVIDIA 제어판의 3D 구성요소. 코덱의 선택 여부는 본인의 PC 사양을 따져본 뒤 CPU 와 그래픽카드를 두고 비교적 더 성능이 좋거나 최신형일수록 해당 코덱을 선택하는 편이 보편적이다. 그만큼 해당 부품이 상대적으로 다른 부품보다 더 원활한 작업량을 소화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두 코덱 모두 장시간 송출에 사용해본 뒤 품질과 게임 성능이 더 수월한 코덱을 사용하면 된다.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의 방송 플랫폼 설정창. 코덱을 잘 선택하면 방송과 게임 환경이 최적화된다.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의 방송 플랫폼 설정창. 코덱 및 다양한 품질 개선점을 변경할 수 있다.
셋째, 비트 레이트. (Bitrate)
송출과 품질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비트 레이트 설정은 PC 사양보다는 인터넷 속도에 비례한다. 인터넷 업로드 속도가 평균 이상이면 저사양 PC에서도 그나마 안정적인 품질의 실시간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 인터넷 속도 테스트를 하는 웹 서비스를 사용하여 업로드 속도가 5mbps (5000kbps) 이상이면 최적화된 720p 해상도의 방송도 문제없이 송출할 수 있다.
인터넷 속도보다 높은 값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해버리면 당연히 송출하고자 하는 데이터 값이 그만큼 손실되기 때문에 프레임 드롭 (Frame drop) 현상이 일어나면서 시청자들은 뚝뚝 끊기는 방송화면을 보게 된다. 방송 프로그램의 통계창 에서 프레임 드롭 현황 및 송출된 총 데이터량 등을 보여주기 때문에 언제든지 모니터 할 수 있다.
비트 레이트 입력 방식도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CPU 코덱을 사용하는 x264 코덱은 두 가지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CBR (Constant Bit Rate – 일정 비트 레이트율)로 설정되어 있고, 원한다면 VBR (Variable Bit Rate – 변수 비트 레이트율)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CBR로 설정할 경우엔 방송화면에 무슨 화면이 있든 무조건 정한 비트 레이트 값으로 송출된다. 보통 화면이 단색으로 채워져 있다면 적은 양의 데이터만 있으면 되지만 화려한 그래픽과 색상의 조화가 무수히 펼쳐져 있다면 그만큼 높은 데이터량이 필요로 하다. 고품질 게임을 송출하게 되면 때때로 시청자의 시점에서 방송 화면이 각이 진다거나 계단처럼 픽셀 현상이 보인다면, 방송인이 설정한 비트 레이트가 방송 송출에 필요한 비트 레이트 값 보다 적게 설정해서 나오는 현상이다. 아무것도 없고 까만 화면만 있어도 무조건 설정한 비트 레이트 값으로 데이터가 송출된다. ‘낭비가 아니냐’라는 걱정이 있다면, 인터넷 데이터 사용에 따라서 추가적인 비용을 내지 않는 이상 낭비는 아니라고 본다.
VBR로 설정한다면 말 그대로 화면에 나오는 색상의 조합과 화려함에 따라서 필요한 만큼의 데이터만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내가 설정한 비트 레이트 값은 ‘최대치’ 가 되며 정해진 값 이하 데이터는 방송 프로그램이 알아서 필요한 만큼만 사용한다. 즉 아무것도 없는 검은 화면에서는 100~200kbps만 쓰다가 갑자기 화면이 복잡해지면 필요한 만큼의 데이터만 계산하여 송출하게 된다. 이 설정 역시 최댓값으로 설정한 비트 레이트가 특정 상황에서 부족하다고 느껴지면, 하는 수 없이 화면에 계단 현상이 생기게 된다.
NVIDIA 계열의 NVENC 코덱을 쓸 때도 비슷한 설정이 가능하다. CBR, VBR 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용어가 조금 다르다. 아무런 설정을 부여하지 않으면 무조건 CBR 설정으로 고정되지만 Adaptive Quantization (적응 양자화)을 선택하게 되면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코덱의 추가설정은 우측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이 조금만 알아보면 저사양 컴퓨터에서도 충분히 개인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 게임을 주로 하지 않고 오히려 캠 화면이 있고 강의, 토크쇼, 라디오 콘텐츠를 주로 한다면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누구나 인터넷 방송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닿게 된다.
I’d imagine it wouldn’t surprise many people but the team here at XSplit watch a lot of streams! We wanted to take some time to highlight a few of the streamers we’re watching the most at the moment and why you should check them out! First up, it’s me, Chris Slight, in what will hopefully be the first of many lists like this from members of staff here at XSplit!
*Note from the author: Some of the clips below will have swearing or spooky games in them. So ya know, take that into account if you were going to play them on a giant screen in front of children!
Pumpkinberry
I have been watching Pumpkinberry for about three years now (subbed for two of those years!) and from the first time I watched to this day it feels like listening to an old friend have a chat. PB (as her viewers know her) is very funny, honest, and open with her emotions, something that makes watching her play through a story-driven game a treat! Also through series like Gone and Nocturne, she is making amazing tabletop RPG stories that are live-streamed through various channels! There’s always time for a cup of tea, a chat, and some good games when Pumpkinberry is on!
(She went to NASA one time to stream a launch and here she is high-fiving an astronaut!)
Okaydrian
Okaydrian is the best stage and TV presenter in the game’s world I’ve ever met. You might know him from GameStop TV, hosting stages for Twitch at E3, or interviewing pop culture titans like Stan Lee or CM Punk at C2E2! He’s hilarious, for starters, like honest laughter hilarious. You know how some people are funny but in that “yeah, I see there is a joke there” little “hah” kind of laugh? That’s not Okaydrian, he’s gut-busting kind of funny. He can also talk about serious subjects in an educated manner with principle and conviction while never closing the door to learning something new about himself or others. He also loves Shenmue so you know I’m gonna love every other game he’s playing!
If you don’t know Steve McNeil you might know Dara Ó Briain’s Go 8 Bit, a UK panel show based around comedians playing video games against each other! Steve was one of the team captains! (He was actually one of the people who came up with the entire idea but that’s a story for another blog, or the Comedians Comedian podcast he was on).
He’s great!
Steve not only plays games and is a lovely funny person his channel also hosts Wi-Fi Wars, the world’s only interactive game show (the tech of which was created by King Rob, someone being referenced when Steves chat type “AHKR” which stands for “All Hail King Rob!”) where you can play games on your smartphone against everyone else in chat. This tech is also used for the Video Game Game Show Show (imagine Go 8-Bit but on the internet), a Pub Quiz using the WiFi Wars tech, TableTop gaming online, and more!
Go watch Steve and grab the whole family for fun games and good times! Steve is also lovely, kind, and will insult you on a personal level for a redemption of stevebucks! Also, Steve has one of the best communities around. So, you’ll always find the chat welcoming, funny, and ready to have a good time!
John Robertson is a comedian you might know from The Dark Room, a live interactive text adventure that he’s now successfully translated to Twitch (and streamed for 48 hours for charity!), he also runs his Arrgh Pee Gee! show on Twitch where the chat decides what happens. Beyond that though, John is, without doubt, unlike anyone you’ve seen streaming before. Energy radiates through your display of choice just watching him. You will be able to power a small home with the vibrations from your laughter. Chatter, game playing, songs on the ukulele by request, and hanging out with your Step Dad (really, check out his streams)! John is strongly in the NSFW category and all the better for it! Seriously, I wrote that little warning at the top mostly thinking “yep, I’m putting John in this list”.
This list should hopefully introduce you to some brilliant new streamers and communities to get involved with! Be sure to let us know who you have been watching in the comments or on our socials. It would be great to get a reader list going as well! Until next time, friends.
인터넷 방송을 시작하고 싶은데 지금 와선 너무 늦은 시기가 아닌가 하는 질문을 종종 받곤 한다. 답변을 미리 이야기해 보자면, 이것은 나이와 시기에 대한 문제가 아니며, 준비를 얼마나 철저히 했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애초에 ‘스트리머’ 라는 한 단어 속에 뭉뚱그려 정의하기엔 너무도 수많은 사람이 다양한 소재와 강도로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하루에 10시간 씩 매일 개인방송을 진행하는 사람도 있고, 30분도 채 하지 않는 사람도 있으며, 하룻밤에 방송 재료로 천만원 이상을 소모하는 사람도 있고, 잔잔한 음악만 틀어놓고 자신의 경험담을 조용히 얘기하는 스트리머도 있다. 자신의 여유가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얻는 대로, 일상에 방송을 한 숟가락 정도 더 얹어 놓는 것쯤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시청자들이 구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송 주제와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회사에 취업해서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상태든, 다른 자영업을 가지고 있든 많은 사람들이 본업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개인방송을 부업으로 병행하고 있다. 개인방송을 하다 보면 재미를 느껴 아예 전업으로 삼으려고 하는 경우도 많은데, 본업을 가지고 있을 경우 충분한 사전 준비와 조사 없이 개인방송으로 전업을 진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위이다. 오히려 본업은 개인방송의 다양한 소재가 되기도 하므로, 한 방향으로만 생각이 흐르는 것은 매우 좋지 않다.
정 전업으로 스트리밍을 진행하고 싶을 경우 자신의 환경이 적합하고, 내 의지는 정말로 확고한지 심사숙고하라. 만약 개인방송을 그만두게 될 경우, 본업이 있는 것과 없던 것은 정신적 안정감에 있어서 매우 차이가 난다. 아무 사전준비나 능력도 없이 갑자기 방송을 그만둔다면 정말로 밀림 한 가운데 던져진 느낌이 들 정도이다.
‘내가 원하는 스트리밍 방향에 대한 내 준비는 과연 적절한가’
혼자서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인터넷과 주변 지인들에게 물어보는것도 현명한 방법!
고민해야 하는 것은 지금이 정말로 늦은 시기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스트리밍 방향에 대한 내 준비는 과연 적절한가’이다. 일정한 공간과 시간을 요구하는 작업인 개인방송은, 현재 내 환경에 대한 영향을 깊게 받을 수 밖에 없다. 수많은 원로 연예인들도 인터넷 방송을 준비하는 시대이지만 누구도 그들에게 지금 시작하기엔 너무 늦었다고 얘기하지 않는다. 그들은 이미 그들의 경험에서 비롯된 A급 방송 재료 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고민을 진행해야 할까? 고민은 개인방송의 모든 분야에 대해 깊이 진행해야 한다. 내가 미리 계획한 방송 소재가 미래에는 더 이상 컨텐츠 창출이 불가능한 시한부 소재일 수도 있고, 컨텐츠 자체가 검증된 것일지라도 내가 그것을 소화할 수 있는지, 또는 동일 컨텐츠를 다루는 방송인이 너무도 많아 내 방송을 차별화시킬 수 있는지, 내가 방송을 하기로 결정한 플랫폼에서 해당 컨텐츠를 소비하는지, 짜내고 짜내서 더 이상 고민이 없을 때 전업 전환을 진행해야만 한다.
스트리머를 내 직업으로 생각하며 개인방송을 진행할 경우에는 최대한 많은 길을 열어 두고 업무, 즉 스트리밍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다른 스트리머와 합동방송이나 기술 지원 같은 협력을 할 수도 있고, 다른 회사와 프로모션을 맺어 이벤트 행사 등을 진행할 수도 있다. 특정 브랜드의 홍보나 광고를 진행하는 스트리머도 많다. 방송 규모가 충분히 커질 경우 이러한 사업 요청 제의를 받을 수 있는데, 많은 스트리머들이 당황하여 급하게 졸속 계약을 진행하여 후회하곤 한다. 미리 공식적 연락을 받을 수 있는 채널 개설에 대해 염두하거나, 이런 경우가 발생할 시 어떤 조건을 제시할 것인지 염두해 두는 것이 좋다.
아무런 준비 없이 시작해서 의도치 않게 규모가 커진 개인방송도 물론 존재하나, 이 경우 성공이 오래 지속되는 것은 매우 드물다. 벼락치기 방송 대기업이 꾸준하게 규모를 유지시키는 것 보다, 차라리 로또 1등 당첨을 맞을 확률이 더 높을 것이다. 로또 1등 당첨자는 매주 대여섯명 정도는 꾸준하게 등장하고 있지만 벼락치기 대기업 스트리머는 그렇지 않다. 스트리머로 성공을 유지하는 난이도는 복싱으로 성공하는 것이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성공하는 것 보단 난이도가 쉬울 수 있으나, 그에 버금간다고는 평할 수 있다.
이 모든 준비를 완수하고 수없이 고민한 끝에 꼭 스트리머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하면, 당신이 원하는 방향의 스트리머가 되어라. 자신이 살아갈 수 밖에 없는 길을 걸어라. 대신 그 길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낀다면, 두 번 고민할 것 없이 언제든 바로 방향을 꺾어야 한다고 약속해 주면 좋겠다.
Taking conference calls from home surely isn’t new but it’s been on steroids as of late due to the ongoing pandemic. With most people forced to stay indoors, many have to adjust and get comfortable real fast performing tasks usually done from an office space and instead get it done from the comfort of their homes. In this blog post, we’ll be focusing on video conferencing calls and how you can make the experience seamless so you’re fully confident in doing it no matter where you are.
Top video conferencing solutions
I figured this is the best spot to mention the background removal and replacement app that we’ve made called XSplit VCam. VCam functions as a virtual camera which essentially means it behaves like a physical webcam that you can select in other apps.
To get started, open XSplit VCam and set up your desired background (or blur whatever your background is). Then go to whatever app or tool you’d like to use it on and select it as your web camera in place of your normal webcam, and voila! everything is now in place! Here’s a short video on how to use VCam with any of the apps and solutions we’re about to mention below.
There’s a lot of apps that exist but we’ll just highlight the trusted ones which most of you are probably familiar with already. Please note this is not a comprehensive list nor a review as our goal is to simply list down the most commonly-used solutions today. There’s a lot of available resources out there that do comparisons but we find this one from PCMag to be the easiest to digest.
Google Hangouts/Meet
Arguably the most popular conference call solution for both small and medium businesses today, getting started with Hangouts is as simple as having a Google account which most of us have. If you’re into Google’s ecosystem already, it just makes so much sense to use this tool right away.
Skype
Back in the day, Skype was easily the most well-known conference calling solution thanks to its relatively intuitive and straightforward interface. Since then, there have been some roadblocks here and there but Microsoft has been constantly making improvements to the app by overhauling the user interface, adding features and making logical integrations.
Zoom
Like Hangouts, Zoom is one of the most popular video conferencing solutions for businesses today. It has arguably also benefitted the most from the current pandemic as it’s seen a large bump-up in its total number of active users.
What sets Zoom apart from the rest of the competition is its extensive number of features that are simply just not available to other solutions in the market.
GoToMeeting
GoToMeeting, while not as popular as other solutions mentioned above, is likewise a good option as it’s pretty capable in providing basic video conferencing needs. It’s not as feature-rich nor is the user interface as intuitive, but it’s reliable enough to get the job done.
Getting set up with any of the mentioned video conferencing solutions is about halfway through, perhaps even more. The other half is carrying out yourself well during the meeting, and we believe it can be achieved if you follow some simple but important tips that you’re about to read below.
Video conferencing tips
You can only become fully comfortable taking conference calls from home if you’re confident everything is correctly in place. So preparation is a big key here. A lot of the tips elaborated below are things that need to be done before the actual call. Remember, doing a call with your colleagues remotely is not really too different from a physical meeting so the basic principles apply.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tools you’re using
We mentioned all the tools/solutions above, now it’s time to get used to them. They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you can mute/unmute your microphone, present your desktop, and so on and so forth, so it really boils down to how things are arranged and how their interface looks.
Understand that you’ll likely use various functions of the tool that you’re using as the meeting progresses so familiarizing yourself with them goes a long way here.
Make yourself presentable
I know working from home gives us a lot of flexibility that is simply not attained while working from our typical corporate environment. But it still works and there’s a line that needs to be tread so you can differentiate work from home. In this case, it’s you and how you look.
Yes, XSplit VCam does the dirty work of prettying up your background so you don’t have to but the app doesn’t make yourself presentable. So go ahead, dress appropriately, make sure you look dap enough like you always strive to when working in an office space.
Have proper framing and lighting
This goes hand in hand with making yourself look presentable. While VCam’s detection is cutting edge, there’s still a big benefit in having good lighting and framing yourself properly.
You should also make sure to re-calibrate when you make changes or if you’re not satisfied with the overall look. We’ve written more tips for making the most out of VCam here.
Arrive on time early
Well, the same applies to any standard meeting but it’s especially crucial for remote ones. Being at least 10 minutes early allows you to conduct the necessary checks and ensure everything is in place and set up correctly. How many times have we endured calls where the first 5 minutes is about asking participants if they can be heard clearly and vice versa?
Coming in early also saves you from panicking in case something happens. I have been in meetings where someone arrives late, seemingly have to run 500 meters, and is huffing and puffing trying to catch a breath. Not a good look and the same is true for online meetings.
Mute yourself when not talking
Working from home means you likely have other people with you at home which makes it imperative to only let your microphone hear you when it’s your turn to talk. And even if you’re alone, your microphone is likely to easily pick up any background noise from a whirring fan beside you, to your neighbor’s dog barking, even a loud vehicle outside your apartment. These types of noise can distract your colleagues and disrupt the overall flow of your meeting.
One quick tip is to make use of keyboard shortcuts that mutes/unmutes your microphone. Almost all video conferencing services mentioned above support that in one way or another.
Stay engaged
Make sure your colleagues have your full attention and it’s reflected during the call. A very common thing people do is ‘multitask’ during calls but not only does this come across as rude, but it’s also distracting. Remember your webcam feed is being constantly shown for the entirety of the call so anything that’s not about you reading or listening will surely be more noticeable.
Again, it’s easy to relax and think you’re doing this in the comfort of your home but that doesn’t make the call or your meeting any different from how you’d otherwise do it from your office. So pay attention and stay focused all the time, the same way you’d like people to do for you when you’re talking.
Parting Words
Even as someone who’s done conference calls remotely many times in the past, I can understand why it’s hard for people to just naturally get used to it. But with some practice, and applying the tips we mentioned above, getting comfortable and confident with the whole process is doable.
I’d love to hear your thoughts on this matter. Do you have any other tips that you’d like to add to what was mentioned above? Or do you maybe disagree with some of what was mentioned? I’d like to hear it out so don’t hesitate to write in the comments section below.
Update: We will be closing the submission of applications on July 1, 2020. Please make sure to submit your application before then.
During this extraordinary time, we have seen a huge increase in new users across a number of different industries reach out to us for assistance in getting started with streaming.
One particular trend we have noticed is non-profit organizations being displaced or having to temporarily shutter their doors during this time, many of whom are now looking to transition to streaming as a means of continuing their efforts.
With this in mind, we’re offering free 12-month Premium licenses to all qualifying Non-Profit Organizations. Those who are interested in getting started with streaming should fill out this form, and a member of our team will get back to you.
From the entire XSplit team, we wish everyone the best during this challenging time.
It’s a basic human instinct to have an urge to share information and spread them among your contacts.
Human beings were utterly weak and fragile when placed upon the infinite horizons of mother nature. In order for them to survive was to gather in groups to empower the strength in numbers. For numerous amount of human beings to be considered a ‘group’ had certain conditions before hand. They required a common ground method of communication. So eventually the people of Earth had attained a survival skill set known among humans as ‘language’. What’s so great about communicating through a common language is that it does not require any assistance of using tools or equipment.
To this day, people of Earth speak in different languages but a large ‘group’ of people would speak the same language, whether it divides the groups as nations or culture, surely more than one other human being other than yourself would be speaking your language today. In the current age of technology, humans taught themselves how to use electricity, computers and the internet. Many humans to this day are now learning the new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by utilizing the evergreen lingual skills that they were educated with while growing up.
While the telephony technology solely relied of the vocals of people, video broadcasting and streaming will rely on both the verbal and visual method of communication, all while the person in front of the camera being able to communicate in real time by reading written chat logs of their viewers.
Now there is a challenge for those who are streaming video games. Have you ever tried to speak without being distracted while concentrating on the game you’re currently playing? In theory, this doesn’t sound too difficult, but it will become a paradox similar to when a musician tries to sing and play a musical instrument at the same time, for the first time.
With many online games requiring you to team up with other people in the internet, you would be familiar with services such as Discord, which is an evolved format of the internet’s vocal communication between players since the days of Ventrilo or Team Speak, you were naturally able to talk to other people in your team.
You would have assigned roles for the second phase of the boss requiring an off-tank to take care of adds and telling the DPS to manage their aggro, signaling your teammates for ganking an enemy player through the bush above the mid-lane and even alerting your friends that you’ve heard an enemy footstep and based on your 3D sound environment, you would call out that the enemy is in South West direction and is within 100 meters in range.
Whelps! Left side! Even side! Many whelps!
In the early days of World of Warcraft, you had to group up with 39 other people to take down bosses
So think about it, talking while playing your favorite game wouldn’t be that hard while streaming right? But once you’re put on the spotlight, things can get very awkward.
Majority of this would be because you didn’t have the time to prepare to research about a game that was recommended by others or when you’re playing the game solo, you may not need anyone’s help, nor would anyone request for your help. There are range of games that requires to you think quickly in turn of events or would require you to read the entire dialog to be able to learn about the game’s lore and controls. Sometimes it would take you longer to explain the background of the game’s story to your viewers, before you would open the door to get to the next level. You would be concerned that if you didn’t read the entire book’s worth of story, your viewers would be spoiled of what would happen in the end.
So which games would be efficient at both talking and playing? Fortunately, there are various games out there that does not require the viewers to understand its lore before viewing what you’re playing. Trading card games would be a good example. Games such as Hearthstone and Magic: The Gathering would be somewhat straightforward and platforms like Twitch even allows certain extensions that would allow the viewers to see more information that may not a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 be able to give yourself tim to speak while simultaneously focusing on the game, you would also have to consider the pace of the game itself. Allowing yourself to give some resting periods in order to talk to your viewers within a single session of the game would be the golden opportunity for you to also regroup and focus on the next strategy. Games such as Dota 2, League of Legends, PUBG and Fortnite is a great example in this. There’s going to be multiple times when you’re leveling up your character before going into a big fight which the streamers use those opportunities to explain what their strategy is going to be to the viewers.
There are game that show the utmost and honest emotions of the streamers. Viewers can also understand and agree to a certain degree even before the streamer would start talking. This is when the streamer is situated in a dangerous scenario which has a high chance of going to the ‘game over’ screen, or would have to restart the progress all the way from the beginning. The genre that fits this description best is ‘beat’em ups’ or ‘fighting games’. Games such as Street Fighter V, Tekken 7, Granblue Fantasy Versus, Dragonball Fighterz are some of the most popular fighting games today. With a direct visual of the game characters’ health bar, viewers can tell whether the streamer is going to be happy, upset, focused or full on tournament mode.
Some sticks had to take a hard hit full of emotions.
Only a fraction of the entirety of the arcade stick population were harmed during some fighting game streams
Ultimately, there is a standout game which became a genre on its own, which is the Darksouls series and other similar style of games. Most of the scenarios that were demonstrated above can apply to this type of game where you (and your viewers) go on lengthy hours of expedition.
In conclusion, the human voice is essential for most method of communication and it revolutionized the way other humans would behave with the minimal amount of effort and energy required. This will apply the same for gaming streams and their streamers. It will certainly be a difficult task to form a community with just you playing games and talking in the beginning. I urge all gaming streamers to show your true feelings toward the viewers and the viewers will reward you with much needed appreciation and acknowledgement. The viewers don’t just follow because of who you are or what you sound like, they will reward you for opening up your true character and welcoming them to your digital doorstep.
수많은 사람들이 게임을 취미로 삼고 있다. 그 유구한 역사 속에서, 플레이어들은 더 이상 웬만한 도전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 이미 상당한 세월 전에 제작자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인공지능으로 플레이어들을 감탄시키는 데 힘에 부쳐,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하였다. 그것이 PVP(Player versus Player)이며, 플레이어들끼리 서로 승부를 겨루게 만든 것이다.
PVP 게임은 일정한 규칙 아래 플레이어들끼리 서로 겨루며, 승과 패가 존재한다. 승패가 존재하기 때문에 PVP게임은 필연적으로 실력의 차이를 드러내게 되었다. 요약해서 ‘누가 더 게임을 잘하는지’가 매우 직관적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PVP의 등장은 단순히 게임을 하는 것을 좋아하기만 하는 게이밍에서 벗어나, 타인보다 뛰어나야 하는 ‘잘 하는 게이밍’이 의미를 가지는 시대를 열었다. 그리고 곧이어 이스포츠, 프로게이머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그들은 명백히 타인보다 뛰어난, 게임을 ‘잘 하는’ 게이머들이다.
잠깐 다른 얘기를 해 보자. 어도비 사에서 제작한 포토샵이라는 그래픽 툴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그래픽 툴 중 가장 대중적인 인지도와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프로그램이다.
1.0 버전이 1990년에 발매되었고, 지금까지 30년여에 걸친 업데이트로 인해 강력해진 프로그램 성능에 의해, 현재는 어설프게 인간이 작업하는 것 보다 프로그램 알고리즘에 맡겨 자체 보정을 진행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물을 생산하는 재미있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지금 이 페이지에서 그래픽 카드 보정을 언급하는 이유는, 그것은 이 ‘보정’이란 단어가 더 이상 우리 게이머들과 관련없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클라우드 게이밍이란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즉 내가 원격으로 입/출력/통신장치만 이용해, 저 먼 곳에 있는 실제 연산장치를 조작하여 진행하는, 비디오 게임 스트리밍 원격 플레이를 얘기하는 것이다. 평소에 게임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신기하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른바 “성골” 게이머들은 이름만 들어도 고개를 절레절레 내젓는 키워드이다.
그 “성골” 게이머들이 클라우드 게이밍을 원치 않는 이유는, 게임을 조작할 때 기존의 화면지연, 입력지연에다가 통신지연까지 추가로 조작 지연이 더해져 내 캐릭터를 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이유 때문이다. 예로 2019년 G스타 게임쇼에서 진행한 철권7 클라우드 플레이가 있다. 본인도 해당 기술에 꽤 관심이 있어 해당 시연에 참가했던 사람들 여럿에게 감상을 물어보았으나, 반응이 썩 좋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여러 가지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통신 속도보다 현재 넘치는 컴퓨팅 파워에 집중하여, 멀티플레이 게임 진행 시 해당 플레이어 플레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다음 차례에 가장 입력 가능성이 높은 입력을 미리 게임 내에서 처리해버린다는 것이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게임이 스스로 ‘어차피 넌 다음에 a버튼을 누를 거잖아?’라면서 내 대신 입력을 처리하여 버린다는 것이다. 조금 섬뜩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혹시, 게임이 마치 포토샵처럼 자동으로 보정을 해 주는 이런 미래가 싫거나 두려운가? 그렇다면 유감이다. 당신은 이미 그런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지금도 수많은 콘솔 FPS게임에서 조준 보정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패드로 하는 FPS게임에서 조준 보정이 없는 게임을 더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이다.
몇몇 격투게임에서도 소극적으로 입력보정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른바 ‘자동 콤보’가 그것이다. 버튼 1개를 연타만 해도 적당히 실용성이 있는 연속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드래곤볼 파이터즈 등에서 도입하고 있다. 이미 도입된 지 오래되어서 어색하지 않게 느껴질 지 모르나, 분명히 내가 한 입력과, 게임에서 받아들이는 입력이 다른 시스템인 것이다.
만약 자기 혼자서 컴퓨터 AI를 상대로 하는 게임에서 어떤 식으로 보정이 이루어지건, 치트를 사용하여 플레이하건 그건 누구와도 상관 없는 일이다. 누구도 피해주지 않고, 자신이 즐거우니 그것은 괜찮은 것이다.
하지만 PVP 게임에서, 그 보정이 실제로 플레이 밸런스에 영향을 줄 정도로 강력하다면 어떨까? 불쾌해 할 상대방이 분명히 존재하고, 심지어 지금같이 프로게이밍 씬이 존재하게 되어 게이밍에 무게가 더해진 사회상이라면 실제적인 손해를 입을 수도 있다. 컴퓨터의 도움에 힘입어 나는 분명히 이전보다 강한 상태로 게임을 할 수 있겠으나, 내가 한 입력이 아닌데 그것을 과연 내 게이밍 스타일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지금 언급한 기술은 아직 먼 미래처럼 느껴지고, 바로 도입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허나 기술은 우리를 기다려 준 적이 없다. 언제나 그래왔다. 기술은 갑자기 우리를 덮친다. 내가 어렸을 때는 야외에서 무선으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는 기기(예를 들면 노트북)을 하나 갖는 게 꿈이었으나, 지금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을 찾아보기 어렵다. 미래는 어떻게 바뀔 지 모른다.
어떻게 바뀔 지 모르는 미래에 대비하여 내가 제안하고 싶은 것 하나는, 우리 모두 게임에 대하여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선”을 미리 준비해 놔야 한다는 것이다.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한 게임을 평생 할 순 없고, 계속 새 기술과 새 게임이 나올 것이다. 유연하게 생각해야 하고, 내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지 미리 염두해야 한다.
오히려 과거의 게이밍에서 답을 찾을 수 있을 지 모른다. PVP란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 컴퓨터를 상대로 기록을 세우는 게이밍, 상대보다 강해지는 것에 집착하지 않고, 내가 재밌어 하는 게이밍을 찾는 것이야말로 앞으로 게임을 즐겁게 할 수 있는 비결일 수 있을지 모른다.
이런 사례가 있다. 나도 이전엔 PVP가 아닌 게이밍이 아니면 경쟁에서 벗어난 게이머라 하여 약간 깔보는 경향이 있었으나, 크게 반성하게 된 계기가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AI 대전모드만 플레이하는 어떤 형님이 계셨는데, 하루는 남는 자투리 시간에 같이 AI게임을 진행하게 되었다.
당시 나는 어떤 종목이건간에 CPU 대전에 대해 깊게 연구할 거리가 없다고 생각하였으나, 그 형님의 오더는 놀라웠다. “몇분 몇초 대에 상대 애니가 이 수풀 앞을 지나간다”, “몇분 몇초대에 상대 라이즈가 이 자리에서 포탑을 공격한다” 등의 지식이 거의 예언 수준으로 기가 막히게 딱딱 들어맞는데다가, 내 캐릭터, 상대 캐릭터의 이동속도, 공격 쿨타임, 모든 동선까지 계산하여(절대 그것은 예측이 아니었다. 지식에서 비롯된 계산이었다) 최고 효율로 킬을 올리는 것이다. 경악했다.
나는 그 때 ‘아! AI대전 연구에도 도가 존재할 수가 있구나!’하고 크게 감탄했었고, 많이 반성하고 시야를 바꾸게 되었다. 그 형님이 분명히 페이커보다 게임을 ‘잘 하는’ 게이머는 아닐지 모른다. 하지만 단순한 AI 대전을 그 정도까지 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은 그 형님이 게임을 ‘좋아하는’ 게이머라는 것을 반증한다.
어떤 종목이든간에 이런 게이머들은 존재한다. 캡콤 프로투어의 스트리트 파이터 5 프리미어 급 대회 8강에 진출할 실력이 되지 않는 사람이라도, 자신 캐릭터의 다양한 패턴과 콤보 연구 결과를 타인과 공유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이것 또한 보물 같은 가치를 지닌 게이밍이다.
만일 당신이 철권의 모든 PS4 도전과제 트로피를 획득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사람이라면 그것은 좋다. 철권 월드 투어 파이널을 우승해야 만족하는 사람이라면 그것 또한 좋다. 두 가지 모두 도전할 가치가 있는 일이며, 즐거운 일이고, 열심히 한다면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두 게이밍 사이에 격차는 없다. 그것이 게임이 존재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