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컨텐츠를 여러 플랫폼에 등록해야 할까?

한번 제작한 똑같은 컨텐츠를 다른 플랫폼에도 올리기에는 조금 부담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의외로 좋은 홍보 전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에 전혀 부담을 가질 필요가 없는것이, 바로 내 작품을 여러 사람들에게 제시하는데 있어서 제한을 두지 않아도 된 다는 것이다. 한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녹화 혹은 인터넷 방송을 송출한 노력에 비하면 이정도 작업은 비교적 쉬운 일이다. 물론 여러가지 고려해 볼만한 부분들을 같이 생각해보도록 하자.

각자 플랫폼마다 분위기가 재각각이다

특정 플랫폼만을 추구하는 시청자들은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대부분의 플랫폼마다 잘 나가는 형식이나 장르의 영상들이 재각각이기 때문에 자기가 좋아하는 종류의 영상을 주로 찾아본다면 특정 플랫폼을 주로 드나들게 된다. 예를 들어, 트위치에서는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는 스트리머들과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들과의 소통이 실시간으로 진행되곤 한다. 이에 비해 유튜브에서는 미리 편집된 영상을 업로드하게 되며 시청자들은 굳이 실시간이 아니어도 언제든지 새로운 영상을 보거나 이미 봤던 영상들을 다시 찾아보며 댓글을 다는 플랫폼이다. 실시간 방송과 유튜브 영상의 큰 차이점은 분위기이다. 실시간 방송은 항상 재미있거나 원하는 장면만 나오는 것이 아니기에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유튜브 영상은 재미있는 장면만 짜집기 하거나 특정 하이라이트만을 가지고 그 위에 자막이나 영상미를 더해주는 여러가지 요소들이 편집되어 나오기 때문에 더욱 흥미롭거나 더 유익할 수도 있다.

심지어 소셜 미디어 서비스들도 여럿 존재하기 때문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틱톡 등 다양한 플랫폼들에도 영상을 짤막하게 업로드 할 수 있게 된다. SNS 플랫폼들은 사람들의 집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상영 시간의 영상들이 다양하게 보여지는 곳이다. 그러니 영상 전체를 업로드 하기 보다는 주목하거나 재미있는 부분만 30초 가량 편집하여 업로드 하는것이 더 바람직하다.

A person with a gaming headset on stood in front of a row of gaming PCs in a large room with two other people next to them, they are shrugging but smiling thinking about reusing content.
Photo by RODNAE Productions from Pexels

컨텐츠를 재활용 하는 것이 가능한가?

여러 유튜버 성공사례에 의하면 트위치 방송에서 보여준 장면들 중에 재미있고 기억될만한 부분들만 잘라내어 편집한 영상들을 업로드 하는 것 이었다. 한 달 정도의 방송 분량을 가지고 가장 멋진 장면들만 추려내어 약 20분 이하의 영상이 만들어 지는데 이는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거나 시청하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모두 인기가 있었다. 트위치 자체에서도 1분 가량의 클립을 따로 떼어내는 기능이 있고 이 기능은 시청자들이 직접 할 수도 있어서 이러한 장면들을 시청자들이 미리 손쉽게 클릭 몇 번 만으로 제작해줄 수 있어서 편집자는 비교적 쉽게 소스를 찾아낼 수도 있다. 여러 작은 클립들을 이어 맞추는 작업이 조금 고될 수 있지만 이를 감상해주는 시청자들이 있고 새로운 컨텐츠로 자리잡을 수 있기에 주어지는 보상은 더욱 보람있게 느껴질 수 있다. 높은 실력을 자랑할 수 있는 모습들과 우연히 만들어진 기적같은 장면들이 한 곳에 모여져 있으니 반응 역시 뜨거울 수 밖에 없다.

주로 다루는 영상의 장르에 따라 짧고 굵은 영상들을 여럿 제작할 수도 있지만 단 번에 주목을 끌 수 있을 장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FPS 게임의 하이라이트는 굉장히 어려운 스나이퍼 샷을 보여준다거나 탈것을 몰 수 있는 게임의 속도와 반동으로 인한 공중 곡예 장면 등을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비해서 마인크래프트에서 건축을 한다거나 과정을 모두 보여줘야 하는 게임들은 금방 지루해서 거들떠 보지도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마인크래프트에서도 여러 멋진 장면들이 트위터에 많이 보여지는 경향이 있어서, 뜰 것 같은 장면들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플랫폼에 알맞는 형식으로 내 컨텐츠를 편집하려면?

이 세상에는 수 많은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있으며 기능 역시 가지각색이다. 이제는 스마트폰에서도 영상 편집이 가능한 시대이다. 영상의 시간만 줄여주는 단순한 프로그램에서 자막이나 그래픽을 삽입할 수 있는 고급 프로그램들도 스마트폰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역시 한번에 여러 플랫폼으로 동시 송출이 가능하다.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같은 경우에는 원하는 플랫폼들에 미리 가입을 해놓은 상태에서, 로그인 기록만 각자 입력해두고 원할 때마다 다수의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방송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동시에 녹화는 물론, 편집도 어느정도 가능한 프로그램이어서 일석삼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렇다고 막상 기존에 있는 영상을 붙여넣기 식으로 아무곳에나 업로드 하면 무용지물이다. 철저히 해당 플랫폼의 분위기나 영상 형식을 잘 공부한 뒤에 기존 컨텐츠를 약간 변형하여 노력을 곁들여 알맞는 영상을 올리게 된다면 이에 걸맞는 보상이 뒤따를 것이다.

블랙 프라이데이 25% 할인 혜택 권한을 드립니다!

블랙 프라데이에는 어김없이 할인 행사의 축제의 장이나 다름 없습니다. 이번에는 엑스플릿 역사상 모든 블랙 프라이데이 이벤트를 통틀어 가장 높은 할인률인 25% 할인 혜택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플랙 프라이데이 25% 할인 혜택을 받으시면 ‘평생’ 25% 할인이 적용 됩니다! 즉, 매 달, 혹은 매 해 상관없이 각 주기에 결제 되는 금액 모두 25% 할인이 적용된다는 것 입니다!

이번 특별 할인 이벤트는 11월 24일 부터 11월 30일 동안만 진행됩니다!

절대 놓치지 마세요!

할인 혜택을 받는 과정은 간단합니다. 우선 엑스플릿 라이선스 구매 페이지에서 원하는 라이선스를 선택한 뒤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라는 창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 새로운 엑스플릿 계정을 만들고 라이선스 구매를 확인하면 됩니다.

2021년 11월 24일 ~ 30일 할인 쿠폰 – BF25
2021년 11월 29일 – 12월 2일 할인 쿠폰 – CM25

해당 쿠폰은 주어진 기간 내 단 한번만 적용 가능하기에 엑스플릿을 처음으로 알고 오신 분들께 각자 어떤 라이선스의 종류가 있는 지 알려드리도록 하겠ㅆ브니다.

엑스플릿 라이선스 종류

엑스플릿 프로그램들은 모두 번들로 묶어서 모든 프로그램의 라이선스를 구매할 수도 있지만, 원하는 프로그램만 선택하여 라이선스를 구별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엑스플릿 프로그램들은 XSplit VCam, Presenter, Broadcaster, Capture, Connect: Webcam 이 있습니다. 번들로 구매하시게 되면 추후 개발될 새로운 엑스플릿 프로그램들에 대해 정식 출시 이전에 얼리액세스로 미리 체험해볼 수 있는 혜택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를 구매하시면 각 프로그램의 고객센터 상담원들과 24시간 사용자들이 편리한 시간대에 문의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질문이나 오류의 발생으로 인한 해결책이 필요하시다면 프로그램 내에 있는 메뉴에서 상담원들과 실시간 채팅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의 기간은 최소 1 개월 부터 평생 라이선스 까지 존재합니다. 처음엔 일정 기간 체험을 해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추후 프로그램 사용에 어느적도 숙지되어 익숙하게 되었다면 평생 라이선스를 구매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일정 기간 동안만 적용되는 특별 할인 기간을 놓치지 마세요! 지금이라도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엑스플릿 SNS나 여러 소통 채널에 질문해주시거나 문의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엑스플릿 매크로 가이드: 방송 제어 자동화

자동화라는 것을 적용하면 일상이 편리해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터넷 방송에도 자동화를 적용 시켜보는 것은 어떨까요? 방송의 연출이나 화면 전환을 자동화 한다면 다양한 창의적인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포 게임을 하는데 마이크 데시벨이 특정 볼륨에 도달하면 카메라를 줌 인 한다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화면이 자동으로 전환되거나 하는 것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란?

매크로는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에 추가할 수 있는 확장 프로그램 입니다. 매크로를 사용 해보지 않은 사용자들은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상단 메뉴 중 도구 메뉴에서 플러그인 스토어를 들어가신 뒤 Macro를 검색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이 후 권한 부여를 수락하시면 매크로 도구를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매크로란, 간단히 말하자면 사용자가 지정한 명령을 원하는 순간에 실행하게 하는 도구입니다. 물론 특정 명령들은 원하는 조건을 지정해야 하고, 조건이 맞는 상황에 되면 지정한 명령이 수행되는 것입니다. 조건들은 키보드 단축키를 누름으로서 실행되거나, 특정 행동을 취하면 실행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편집을 미처 마무리 하지 않은 동영상을 소스로 추가했지만 특정 구간에서 멈추도록 하고 싶다면 동영상이 x분 x초에 도달했을 때 자동적으로 재생을 멈추고, 뒤로감기를 하고, 동영상 소스를 비활성화 하는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스크립트에 익숙한 상요자들은 직접 스크립트를 제작할 수도 있습니다.

The Macro menus open in XSplit Broadcaster which makes live streaming automation possible.
An example of the Macros Plugin (remember to enable event listener!)

이벤트, 즉 내가 원하는 명령의 주제를 선택했다면 이제 해당 명령이 실행할 액션들을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액션이란,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내에서 실행할 수 있는 것들 중 장면이 전환되는 것처럼 간단한 행동들이며 이 외에도 방송 송출 시작 및 종료, 프로젝터 모드 실행, 또 다른 매크로를 실행 등등 간단하거나 복잡한 액션들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원한다면 다수의 매크로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지만 이를 관리하려면 충분한 실험 기간도 거쳐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매크로를 테스트 해보려면, 방송 시작 전이나 최종 녹화를 하기 전에 여러번 실행해보며 만족 할 때까지 수정해주면 됩니다. 이러한 매크로 액션들을 여러번 손 보다 보면 창의력에는 한계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될겁니다. 아래 여러 매크로의 예시를 토대로 자신만의 매크로를 만들고 실험 해보기 바랍니다.

A close up of a phone next to a gaming mouse and keyboard on a desk watching a live stream, adding live streaming automation could help you!
Photo by Caspar Camille Rubin on Unsplash

방송 휴식 및 광고 시간 자동화

인터넷 생방송을 준비중이라면 최고의 시청자 경험을 위해 중요한 타이밍들을 예측하고 연습해야 합니다. 자동화 설정을 거쳐가면 조금 더 간단하게 절묘한 타이밍들을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방송의 취지가 제품 설명이거나 새로 공개하는 컨텐츠라면 더욱 신중하게 생각해봐야 할 요소입니다. 만약 방송 휴식시간에 광고 동영상을 몇 가지 실행하려면 아래와 같은 예시를 들 수 있습니다.

일단 광고 동영상들이 재생 될 새로운 장면을 생성합니다. 이후 다양한 광고 영상과 광고 이미지를 소스로 추가합니다. 광고 동영상들이 여러개라면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거쳐서 이들을 모두 이어낸 하나의 영상으로 만든 뒤 소스로 추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매크로 설정창을 열면 새로운 이벤트를 만들고, 해당 이벤트를 특정 키보드 단축키를 눌렀을 때 실행되도록 합니다. 그 후 첫 번째 액션은, 광고 영상이 있는 장면으로 전환하는 것이고, 해당 장면에서 동영상 소스를 ‘장면 전환시 자동 재생’으로 설정했을 시 장면이 전환되는 즉시 동영상 재생이 될 것입니다. 이제 이벤트 리스너를 체크한 뒤 새로운 이벤트를 만들고, 해당 이벤트를 실행하는 방법을 특정 미디어 소스의 재생이 멈췄을 때라고 한 뒤 해당 광고 영상 소스를 지정하면 됩니다. 이 새로운 이벤트에 추가할 액션은 다시 원하는 장면으로 전환하기로 지정하시면, 이제 광고 동영상이 멈춘 뒤 자동으로 원래 장면으로 전환 될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더 이벤트를 추가하거나 액션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여러 매크로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Making your camera zoom in on a loud noise is another great macro!

원하는 시간에 방송 시작하기

일정한 스케쥴에 습관을 들여야 한다거나 여러 사람들에게 방송 시간을 미리 사전 공지하여약속했다면 이러한 매크로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의 이벤트는 특정 시간대에 실행되도록 지정합니다. 액션으로는 방송 대기 화면이나 원하는 장면에 들어가도록 하고 액션을 또 추가하여 방송 송출 시작을 지정하면 됩니다. 이제 이벤트에 지정한 시간대에 도달하면 방송 송출이 자동으로 실행 될 것입니다. 반드시 이벤트 리스너에 체크해주세요.

A person wearing an RGB gaming headset streaming on their gaming PC, adding live streaming automation could make their life easier.
Photo by Fredrick Tendong on Unsplash

송출시 항상 로컬 녹화 실행하기

개인적으로 여러번 실수했던 경험으로는 행사 방송을 할 때 로컬 녹화를 시작하는 것을 까먹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무조건 녹화를 해야 한다는 규칙은 없지만, 상업적인 목적이나 클라이언트와의 약속으로 인해 고퀄리티 영상을 주문 받았다면 당연히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녹화본이 있어야 편리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 환경이 100%여야 하는 것에 의존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 대비하여 새로운 매크로의 이벤트를 단축키로 지정하고, 이 단축키는 이제 방송 송출도 시작되고 동시에 로컬 녹화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도록 액션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약간의 매크로 예시를 테스트해보시면 대충 짐작할 수 있는 다양한 특정 상황들에 유용할 매크로가 생각나게 될 겁니다. 간단한 것, 복잡한 것 할 것 없이 필요성이 있다면 본인 및 시청자들도 이에 대한 편리함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가지 창의력을 동원하여 편의성을 높여줄 매크로를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4.2 출시! 개선점과 주로 요청되었던 기능 추가

XSplit Broadcaster 4.2 가 출시 되었습니다. 여러분의 인터넷 방송 송출에 도움이 될 개선점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VST3 지원 – VST3.0 효과 플러그인을 메인 마이크에 적용할 수 있으며 마이크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게 됩니다.
  • 가상 마이크 – 가상 카메라처럼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를 가상 마이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즉 브로드캐스터에서 나오는 모든 음향을 원하는 화상 통화 및 다른 애플리캐이션에 연동하여 송출할 수 있습니다.
  • 전력 절약 모드 – 영상 장치들이 활성화된 화면에 나와있지 않을 경우 프로세서 전력을 절약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 10 Bit HDR 지원 – HDR 게임들을 브로드캐스터로 캡처할 경우 자동적으로 SDR로 변형하여 캡처합니다. 즉 HDR 신호로 출력하는 게임을 정상적으로 브로드캐스터에서 감지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 관리자 모드 팝업 – 이제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실행시 더 이상 관리자 권한 팝업이 뜨지 않습니다.

이 외에도, 잡음 억제 샘플링 조절, 오직 방송 오디오, 간편해진 로그인 및 회원가입 등등이 개선되었습니다. 고쳐진 버그들과 상향된 패치 노트를 확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여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추가로, 보안과 안전을 위해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는 현재 시기부터 윈도우 10과 그 이상에서만 실행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마치며,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4.2 베타 버전을 사용해주신 많은 사용자 커뮤니티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여러분들도 베타 버전을 활용하여 미리 새로운 기능과 기술들을 경험해보시려면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베타 버전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하여 사용 해보시기 바랍니다.

엑스플릿은 항상 새로운 기능들과 편의성을 고려하려 새로운 버전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피드백과 댓글을 남겨주시면 소중한 의견들에 모두 귀기울이고 있으니 아래 댓글창 및 SNS 등으로 피드백을 공유해주시면 감사할 따름입니다.

날씨가 더욱 쌀쌀해졌기에, 감기 조심하시고 모두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유튜브 실시간 방송과 활용할 수 있는 기능

인터넷 방송 기술과 문화는 그 어느때보다 더 발전되었습니다. 방송 화면에서는 팔로워 알림등을 실시간으로 표기하거나 실내가 아닌 야외에서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어디서나 인터넷 방송이 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요구에 해소를 해주는것 마냥,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들이 동영상을 업로드 하거나 실시간으로 송출해주는 플랫폼으로 생겨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플랫폼은 유튜브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동영상 플랫폼입니다. 유튜브로 실시간 방송을 선택하시길 원하신다면 유튜브의 경쟁사와의 비교 및 유튜브 자체 기능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에서의 수익 실현

유튜브에서 지속적인 활동을 하면 동영상들로 수익을 벌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유튜브 파트너십에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여기서 유튜브 파트너가 되는 조건을 먼저 확인 해보세요. 간단하게 풀어보자면 12개월 안에 1,000명의 구독자와 4,000시간의 동영상 시청 시간이 필요로합니다. 파트너십을 달성하게 되었다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수익 실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일단 광고를 영상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광고의 종류는 동영상 재생 전, 그리고 동영상 재생 중간을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는 채널에 멤버십을 활성화 할 수 있는데, 이 기능은 트위치의 구독 시스템과 비슷한 유료 회원 서비스 같은 개념입니다. 유료 멤버십을 활용하면 멤버 전용 영상을 만들거나 멤버들만이 참여할 수 있는 실시간 방송을 송출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를 통하여 불법적인 활동을 하면 제재를 당하게 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슈퍼챗, 슈퍼 스티커 기능이 있는데, 슈퍼챗은 자신들의 글귀가 잘 보이도록 눈에 띄는 색상으로 채팅창에 표기되는 것이고 후원한 금액에 따라 다른 효과들이 표기됩니다. 슈퍼 스티커도 비슷한 형식이지만 글귀가 아닌 이모티콘 같은 이미지가 표기 됩니다. 이러한 슈퍼챗, 슈퍼 스티커, 멤버십과 팔로워 알림 등은 모두 게임캐스터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커스터마이징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한가지 중요한 요점이라하면 시청자들이 애드블락 같은 광고 차단 플러그인을 쓴다면 광고가 표기되지 않아 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애드블락에 확고한 분들이 따로 멤버십 가입을 하도록 하면 시청자들과의 타협을 볼 수도 있습니다. 슈퍼챗이나 슈퍼 스티커를 후원할 때의 특정 금액에 따라 다른 보상을 적용하는것도 바람직합니다. 일정 금액에는 특별한 인사나 춤을 보이거나 또는 공약을 내세워서 봉사활동이나 야외 방송을 하는 콘텐츠로도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을 활용하여 콘텐츠의 범위도 늘리고 시청자와의 소통도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A streaming setup, PC multiple monitors, lights on a desk with a keyboard and mouse which could be used to stream to find out the best features of YouTube Live
Photo by Roberto Nickson on Unsplash

방송 장비 준비 및 점검

유튜브에서 방송 기술이 굉장히 유연하고 커스터마이징 면에서 최고인 부분은 바로 현재 가지고 있는 컴퓨터로도 얼마든지 인터넷 방송이 가능하다는 것 입니다. 제한된 콘텐츠의 범위가 없으며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하나의 채널에서 꾸준히 방송을 하려면 동영상의 제목이자 대문과 같은 눈에 띄는 썸네일 제작을 하는 것으로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이제 방송을 일정하게 하려고 마음 먹게된다면 시간표를 정하여 방송 활동을 정교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캘린더 기능이 있는 서비스를 활용하여 특정 날짜에만 방송을 하거나 방송을 쉬는 날짜를 정하면 시청자들도 미리 알아볼 수 있고 기대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유튜브 방송을 비밀로 지정하여 특정 회원들에게만 보여지려면 이메일로 방송 주소를 통보할 수도 있습니다.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기술

일단 가장 처음 확인해볼 기능은 레이턴시 (딜레이) 설정입니다. 최대 고품질의 영상을 원한다면 ‘보통’ 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만약 화질을 조금 감안하더라도 시청자들과 신속한 소통을 원한다면 ‘낮은’ 혹은 아주 낮음’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다음은 자동 시작 및 종료 설정입니다. 각자의 유튜브 실시간 방송은 서로 다른 방송 주소 URL을 지니게 됩니다. 이제 방송 프로그램으로 송출을 시작하여도 유튜브 설정에서도 송출 시작을 선택해줘야 합니다. 자동 시작 및 종료 설정을 하면 해당 부분을 자동으로 실행시켜줍니다. 자동 종료는 조심하여야 할 것이, 원하지 않을때 갑작스럽게 방송이 종료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은 DVR 설정입니다. DVR 설정을 하면 실시간 방송의 지난 4시간 가량은 자동 녹화되어 유튜브 채널에 기록으로 남게 됩니다. 다만 방송 지연을 ‘가장 낮게’로 설정했다면 이 설정을 활성화 할 수 없습니다. 360도 동영상 촬영을 방송으로도 설정 가능하며 이 설정 역시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에서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실시간으로 경쟁하는 이스포츠 대회같은 방송을 할 땐, 상대방의 부정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일부러 방송 지연 (딜레이)를 설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참고로 ‘가장 낮게’ 설정된 방송 딜레이에서는 1080p 해상도룰 지원하지 않습니다.

유튜브 방송에서만 가능한 실시간 자막 기능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일부 사용자들에게만 주어진 특권이지만, 미리 대본이 있는 방송일 경우, 대본을 영상에 표기되도록 추가하거나 대본이 있는 다른 웹페이지로 링크를 입력하면 됩니다.

A minimal streaming setup using a gaming laptop on a desk connected to a monitor looking for the best YouTube live features.
Photo by Ahmed Sekmani on Unsplash

XSplit Broadcaster & 유튜브

유튜브 설정에서 방송에 필요한 기능들을 모두 확인하셨다면 XSplit Broadcaster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를 설치하여 방송을 직접 제어하고 송출의 시작과 종료를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스튜디오 대시보드에서 라이브 관련 메뉴를 확인하면 RTMP 연결 관련 자료들을 복사 후 붙여넣기 하여 채널을 연결하거나 유튜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해서 로그인 하는 방식으로 연결해도 됩니다.

그 후 브로드캐스터에서 자동 설정 설치 마법사를 통해 해상도, 프레임율을 본인의 컴퓨터 사양과 인터넷 속도에 따라 알맞게 맞춰줍니다. 방송을 시작하는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창이 생성되어 유튜브에서 새로운 이벤트 (전 과는 다른 URL로 방송) 또는 저번에 했던 URL을 유지하여 방송할지 선택해줘야 합니다. 이제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에서 다양한 소스와 위젯을 활용해 채팅창이나 구독자, 팔로워 알림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라이브의 시청자 관리

유튜브 라이브 자체 플랫폼에서 시청자들을 관리하고 내 콘텐츠를 보호하는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유튜브 라이브의 미리보기 화면 및 제어판에서는 채팅을 활성화 하거나 아예 비활성화 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시청자들이 콘텐츠에만 집중할 것인지 아니면 서로 소통하거나 심지어 관리자와도 소통할 수 있을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슬로우 모드를 하면 일정 기간 안에 한 번의 채팅만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을 관리자로 설정하여 여러명이서 채팅창을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유튜브에서의 방송은 트위치보다는 약간 더 손이 가고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영상 노출의 알고리즘이 워낙 여러가지 조건이 들어가므로 다양한 시청자층에게 소개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트위치처럼 다른 시청자들에게 구독권을 선물할 수 있는 여유로움은 없지만 방송 후 녹화된 영상들을 모두 같이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추후에도 영상을 관리하고 검토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직접 다양한 SNS 플랫폼으로 공유하는 것 역시 더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유튜브에서는 방송을 비밀로 진행할 수도 있어서 특정 모임, 회의, 발표회 같은 행사에서는 모두 공개된 것이 아닌 특정 인사들에게만 초대장을 URL 형식으로 보내어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즉, 유튜브 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일상과 취미 그 이상인 개인 프로젝트 및 상업적 목적으로도 충분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도 라이브 방송을 시작해보시려면 여러번 시행착오를 거쳐서 경험을 쌓는것이 중요합니다. 친구와 가족들에게도 확인해볼 수 있고 여러가지 장비와 도구를 활용하여 유튜브 라이브를 실험 삼아 연습해보면 나중엔 대중을 위한 행사를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도 선사할 수 있을것입니다.

간편한 틱톡 영상을 제작하여 인터넷 방송 홍보하기

틱톡 크리에이터 여러분 안녕하세요! 비록 이전에 틱톡을 사용하지 않으셨더라도 간편한 틱톡 제작법을 배워보고 모두가 쉽고 간편하게 틱톡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인터넷 방송이나 유튜브 활동을 이미 하고 있다면, 이들을 홍보하기에도 좋은 기회입니다. 특히 PC로 게임을 하는 게임 컨텐츠 크리에이터분들 역시 이제부턴 간편한 게임 영상 틱톡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틱톡용 게임 플레이 영상 제작하기

이번 가이드에서는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틱톡의 기본 해상도는 9:16 비율입니다.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에서는 다양한 커스텀 해상도를 지원하기에,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우측 상단의 메뉴에서 1080 x 1920 (portrait) 해상도로 지정하신 뒤, 프레임률은 29.97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이제 녹화 설정을 조절하겠습니다. 상단 메뉴에서 녹화 (Record) 메뉴를 선택한 뒤 메뉴 내 우측에 있는 톱니바퀴 아이콘을 선택하세요. 틱톡에 알맞은 녹화 설정은 일반 (Standard)로 맞추시면 됩니다. 만약 여기서 기본적인 구조만 녹화하고 Adobe Premiere Pro 같은 편집 프로그램에서 추가 작업을 하시려면 멀티 트랙 오디오 (Multi Track Audio)를 활성화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An image for XSplit Broadcaster Recording settings showing you how to record gameplay for TikTok

틱톡용 게임 화면 캡처하기

PC 게임 화면을 틱톡 전용으로 녹화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일반 녹화나 인터넷 방송에 사용하듯이,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내에서 게임 캡처 소스를 추가해주세요. 좌측 하단 메뉴에서 소스 추가 > 게임 캡처 를 선택하면 됩니다. 만약 게이밍 콘솔이나, 현재 PC가 방송용이고 게임 PC가 따로 있다면 소스 추가 > 장치 > 비디오 > 캡처보드 를 선택하면 됩니다. 원한다면 웹캠 화면까지 추가하실 수도 있고 창의력이 허락하는 만큼 소스를 추가하셔도 좋습니다.

이제 영상이나 미디어 소스 외에 다른 비어있는 구간을 원하는 소스로 채워 놓으면 됩니다. 만약 특정 구간을 일반 색깔로 채워놓고 싶다면 컬러 소스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좌측 하단 메뉴에서 소스 추가 > 일반 위젯 > 컬러 (Color Matte) 를 선택하시면 되고, 문구를 입력하려면 소스 추가 > 텍스트 (Text) 를 선택하면 됩니다.

인터뷰 녹화하기

다른 인물이나 동료 컨텐츠 크리에이터와 콜라보레이션을 하면서 짧은 인터뷰를 하는 영상도 담아낼 수 있습니다. 웹캠 소스를 추가하여 내 모습을 적용시킨 뒤, 타인이 접속해 있는 화상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인물의 캠 화면을 소스로 캡처하여 추가하면 됩니다. 이러한 컨셉트의 인터뷰 영상 녹화법은 다른 가이드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알트 [Alt]키를 누른채로 마우스 커서를 소스 테두리에 놓고 클릭 후 드래그 하면 해당 테두리면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 후 원하는 위치에 소스를 배치하였다면, 해당 소스를 마우스 우 클릭하여 구성요소 메뉴를 불러온 뒤 효과 (Effect) 탭에서 필터 (Filter) 메뉴를 선택하여 다양한 필터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마이크가 확실하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단 메뉴의 도구 > 설정 > 오디오 메뉴를 확인해보세요. 오디오 믹서 조절을 통해 내 볼륨과 게스트의 음성 볼륨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 역시, 녹화 설정에서 멀티 트랙 오디오 (Multi Track Audio)를 활성화 했다면, 녹화 후 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각자의 목소리를 따로 편집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Someone holding a phone with the TikTok app opening, you can record gameplay for TikTok
Photo by Solen Feyissa on Unsplash

최종 녹화본이 준비 되었다면, 곧바로 틱톡에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최고의 편집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재미있는 틱톡용 게임 영상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틱톡은 여러 동영상 플랫폼 경쟁자들 사이에서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차세대 SNS 영상 플랫폼으로 등극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이미 2020년 9월 당시 설문조사에 의하면 6명당 1명은 틱톡을 하고 있으며 점점 더 성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여러분들께서 재미있게 하고있는 게임을 틱톡 영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면 여러분들도 틱톡 사용자로서 성장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틱톡 외에도 비슷한 성격의 영상을 제작하여 다양한 플랫폼에 맞는 게임 영상을 제작해보도록 하세요!

XSplit Presenter 의 공개 베타 테스트 버전이 출시 되었습니다!

약 1년 동안, 전 세계의 생활과 업무 환경이 급격하게 뒤바뀌게 되었습니다. 저희 XSplit 에서는, 약 10년간의 노하우를 가지고 동료들 끼리 원격으로도 생산적인 업무와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지 않을까 고민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을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대부분의 온라인 회의 및 생업 활동은 프레젠테이션 및 발표 자료를 가지고 카메라 앞에 앉아서 설명을 해주는 형식이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하여, 파워포인트, 구글 슬라이드 등을 그대로 활용하고, 거기에 이미지, 동영상, 웹페이지, 유튜브 영상과 웹캠을 모두 연동시키는 종합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슬라이드를 페이지를 변경하여도, 웹캠 화면을 항상 보이게 하여, 슬라이드 내의 어떤 구간이든간에 시청자들과의 소통의 흐름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XSplit Presenter를 소개합니다.

위의 여러가지 이유를 통합하여, XSplit Presenter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나만의 스타일과 유형, 상호작용 요소들과 화려함을 모두 프레젠테이션 안에 담을 수 있고 회의나 발표, 제품 설명회 등에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 프로그램을 강제적으로 사용하거나 한가지 프로그램에서 경험했던 제한적인 요소들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 자료를 호환하며 실시간 캠 화면까지 연동할 수 있도록 구현해냈습니다.

이미 사용하고 있는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의 활용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XSplit Presenter 개발 중 가장 중요시 여기던 부분은, 이미 여러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들과 동일한 유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이었습니다. Google Slides, Microsoft Powerpoint, PDF 문서 등, 해당 프로젝트에 캠 화면을 연동시켜서 Zoom, Teams, and Skype, 디스코드 등에 가상 카메라로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시청자들과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집니다.

또 다른 요점 중 하나는 실시간으로 주석이나 하이라이트를 표시하여 질의응답시, 또는 중요한 강의시 화면상 원하는 부분에 그리거나 밑줄을 치는 행위가 가능해집니다. 게다가 실시간으로 프레젠테이션 페이지를 편집할 수 있기에 이미지나 동영상을 끌어 담거나 유튜브 영상을 열어볼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등의 이유로 발표의 흐름을 끊을 필요가 없습니다.

동시 다수 발표자를 지원합니다.

조별 과제등을 발표할 때, 발표자들이 여러명일 경우, 스카이프의 NDI 소스 연동으로 다수의 발표자들이 캠과 마이크를 켜고, 하나의 문서 자료를 온라인을 발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추가 기능들을 많이 업데이트 할 예정이며 원격 업무 및 학업에 도움이 되는 요소들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지금 바로 XSplit Presenter를 무료로 다운로드 하여 직접 경험해보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나 질문이 있으실 경우, 트위터 @xsplitkr, 또는 공식 XSplit 디스코드 서버에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재택 근무시 활용할 수 있는 시간표 만들기

재택근무를 처음 시작해본 사람들에겐 한 가지 고민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과연 어떻게 시간을 관리해야 잘 관리했다고 할 수 있을지, 막상 시작해보려고 하면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게만 느껴집니다. 공통점으로 겪는 어려움은, 주변에 직장 동료들이 없어서 간단한 업무와 관련된 도움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며, 컴퓨터에 유능하지 않는 분들은, 기계가 고장나거나 하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다는 점이었습니다. 이렇게 어려운 환경에서도 어느정도 형식을 정해놓고 습관을 들인다면, 대부분의 고민을 덜어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생업이란, 가끔은 정해진 시간대로 진행되지 않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유연한 시간 관리를 하지 못하는 것 역시 고통받는 경험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간단한 루틴을 정해놓거나 하루에 반드시 무엇을 해야한다는 정도만 지켜준다면, 다른 중요한 시간들도 소중하게,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업무 시간 관리하기

뭘 해야할지 모르는 상황이 들이닥치기 전에 정리해야하는 부분들을 먼저 집중해보도록 합시다. 사소한 것도 잊어버리지 않도록 메모를 하는 습관을 들이거나 무엇이든 어딘가에 기록을 남긴다면 반드시 추후에 확인해본 후 ‘다행이다’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입니다. 하루 24시간 내에 정해진 시간만큼만 업무에 집중하고, 나머지 시간들은 본인에게 보상을 주는것 처럼 반드시 휴식을 할 수 있는 시간도 주어야 합니다. 조금만 더 라는 생각으로 업무 시간을 늘리게 되면 추후엔 휴식시간조차 없게되고 식사 시간마저 뺏기게 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려면 구글 캘린더 같은 달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 일정들을 기록하거나 개인 시간을 마련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긴 시간의 회의나 업무 직후에 10분가량 휴식하는 것도 좋지만 미리 업무 시간을 직접 배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거래처에게 보고하여 특정 시간대에 업무를 진행하겠다고 통보한다면 더욱 여유로운 업무 및 개인 휴식시간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인 자영업을 한다면 어느정도 현실성 있는 부분이기도 하며 만약 직장생활중 이라면 팀장과 회의를 통해 알맞는 업무 시간대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A person sat at a desk using a PC and employing time management to create a work schedule.
Photo by Firos nv on Unsplash

시간 관리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고 싶다면 다양한 서비스들이 존재합니다. 가장 인기있는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는 포모도로 테크닉 Pomodoro Technique)이며, 짧은 휴식시간들을 적절히 조절하여 급격히 발산되는 집중력을 활용하도록 도와주는 시간 관리 서비스입니다. 포커스 키퍼 (Focus Keeper app)도 비슷한 개념이며 간편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입니다. 생각의 정리가 잘 정돈되지 않는다면 마인드노드 (Mindnode)를 사용하여 조금 더 정리정돈된 일정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목록 형식으로 할 일을 정리하고 싶다면 투두이스트 (Todoist)를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BBC에서 최근 연구한 재택근무와 관련된 자료에는 백만명 이상의 영국 근로자들이 출퇴근 형식을 버리고 재택근무로 남겠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있었습니다. 이런 방향으로 진행된다면 다양한 시간 관리 애플리케이션들도 제작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Someone sat at a desk in front of a laptop pouring coffee in to a mug while they use their phone and employing time management to create a work schedule.
Photo by Nubelson Fernandes on Unsplash

반드시 적절한 선을 그어라

시간관리라는 것은 말은 쉽지만 지키기 어려운 행위입니다. 한 공간에 거주하면서 개인적인 일, 직장 업무, 휴식, 취미, 가족과의 시간을 골고루 이행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재택 환경에 다른 사람이 살고 있다면, 심지어 가족일지라도, 반드시 그들에게 본인이 재택근무를 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업무 시간대와 자유 시간대를 통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해를 최소화 하며 인간관계도 보정이 될 것입니다. 휴식시간이 다가오면 반드시 자리에서 일어나 잠시 스트레칭을 하거나 업무와 관련된 시선을 최대한 차단하여 충분한 휴식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충분한 휴식은 반드시 다시 집중력을 키워주기에, 이러한 변환점을 잘 활용하여 효율적인 업무 진행과 동시에 건강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재택근무 환경에 혼자만 살고 있다면 일 하는 공간과 휴식을 하는 공간을 따로 배치하는것도 방법입니다. 공간의 크기와 상관없이방향만 바꿔 앉아도 새로운 자세로 집중하는 마인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명심해야 할 것은, 업무 환경이 달라졌다 하더라도 반드시 특정 업무의 데드라인은 어느때와 다름없이 존재하는 부분이어서, 효율적인 업무 환경과 시간관리를 통해 이를 유지시키기 위한 시간표를 항상 체크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물론 재택근무를 한다면 출퇴근에 소요된 시간을 더 생산적인 곳에 활용하거나 휴식에 필요한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항상 시계를 머리맡에 두거나 방대한 엑셀 스프레드시트를 제작하라고 강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모습과 방식으로 기본적인 시간관리를 해준다면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 직장 동료, 중요한 인맥들에게도 모두 도움이되는 일의 발판이 된다는 것을 명심하고 또 이에대한 중요성 역시 다른 비슷한 처지에 있는 친구들에게 전파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새로워진 세상. 안전한 재택 근무 환경.

2020년에는 전 세계가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일상과 업무 환경이 뒤바뀌어버린 지금은 우리가 원하던 것도 아니었고 준비하고 있던 시대도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적응은 해야하기에 부정적인 영향이 닥치면 맞서 싸우는 것과 같이 새로운 세상에 적응할 능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모든게 다 100% 회복되기에는 확실치 못하지만 모두의 안전과 평화를 위해 어떤 점들을 중요시 여겨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A stencil of the smiley face emoji with "stay safe" written underneath it on the floor  is part of adjusting to the new normal.
Photo by Nick Fewings on Unsplash

세로운 세상에 적응하기 위한 도전

새로운 환경과 일상이 자연스러워 지려면 시간이 필요합니다. 갑자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라 하면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도움이 필요할 것이며 또한 미리 적응한 사람들은 아직 혼란속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본보기가 될 줄 알아야 합니다. 하루 주어진 할당량 및 생산량에 지장을 주지 않으려면 잠시 동안 휴식을 취하며 재정비를 할 시간도 중요하게 여겨야 합니다.

저희 회사 직원들은 전 세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각 국가의 기준 안전 표준도 알아야 하며 문화적 차이도 존중해줘야 합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회사의 관리자들은 대부분의 직원들이 집에서도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을 해주는 전략을 내세웠습니다. 업무에 필요한 장비들은 회사에서 각자의 집으로 전달되기도 했습니다. 신속하게 결정을 내린 결과 업무에 큰 지장을 주지 않고도 각자의 책임과 일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기회로 인해 많은 직원들이 집에도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알맞는 작업 환경을 만들기에 신경쓰고 있습니다.

원격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고려해봤습니다. 아직 저희들도 완벽하게 적응한 것은 아니지만 주어진 시간들을 모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든 업무를 전체적으로 원격으로 진행하려는 결정은 상황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어느정도 재택 근무 직원들이 늘어날 전망으로 보는 지금은 이에 알맞는 업무 전략을 내세워서 피해를 최소화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Someone moving their office equipment in to their home as a part of adjusting to the new normal.
Photo by HiveBoxx on Unsplash

XSPLIT 직원들의 적응 방법

저희도 마찬가지로 처음엔 당황하기 마련이었습니다. 모든 직원들의 상황을 파악해야 했으며 동시에 업무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모든 절차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했습니다. 그나마 엑스플릿에서는 직장 동료들 과의 신뢰가 깊기 때문에 새로운 업무 전략을 제시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그들의 업무 시간 및 활동 시간들을 조절하며 주어진 업무들을 속속히 이끌어냈습니다.

보통 회사 회의실에서 만나서 진행하던 모든 직장 내 회의들이 화상 연결 비디오 채팅으로 변형되었습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온라인 캘린더와 함께 이러한 일정을 알리는 이메일 구성을 개선해야 했습니다. 게다가 이 모든 과정이 엑스플릿의 새로운 제품인 엑스플릿 프레젠터를 준비할 즈음이어서 최대한 빨리 대부분의 작업 환경 개선에 신경을 써야 했던 상황입니다. 이제 전 직원 회의때마다 시켜 먹었던 피자와 군것질, 간단한 음료수 등을 나눠 먹던 것들도 모두 각자 직원들의 집에 배달해주는 단계까지 이르렀습니다. 그 때의 시절을 잊지 않는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고안한 방법입니다. 다행히 온라인 상에서 만나면 모두 맛있게 피자를 먹고 있는 모습이 재미있었습니다.

업무의 우선도 역시 변형이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안전과 건강이 최우선이었으며 각자의 작업 환경이 청결하고 방역되었는지 각 지역의 제한적인 요소들을 모두 파악하기도 했습니다.

큰 회사 건물에서 작은 방 안에서 모든 업무를 진행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었지만 일부 직원들은 사용하지 않던 창고를 개조하거나, 침실의 구도를 변형하여 작업과 휴식을 동시에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모든 직원들이 조금씩 각자 할수 있는 방법들을 동원하여 최대한 편하고 최적화된 업무 환경을 만드는데 노력했습니다. 일부 직원들은 회사 컴퓨터를 집에다 옮겨두었고 특수 장비들 역시 일부 직원들에게 전달되어서 업무에 지장이 없도록 아이템 구성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따지고 보면 대부분의 업무는 집에서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람에 따라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는 정도가 모두 다를 수 있습니다. 엑스플릿에서는 다행히도 모든 직원들이 열린 마음으로 각자를 격려해주었고 피할 수 없는 직원 회의도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화상 연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데에도 큰 무리가 없었습니다. 게다가 각 부서마다 각자 동료들에게 안부를 묻게 되는 습관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Someone working from home on a laptop at a desk adjusting to the new normal.
Photo by Corinne Kutz on Unsplash

집에서 일을 하다니…

이미 많은 회사들은 재택근무제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아무도 이러한 일이 벌어질 지라고는 상상하지 못했겠지만 시간은 흐르고 일은 계속되야 하기에 신속히 업무 전략을 바꾸는 것도 일이 되어버렸습니다. 하지만 현대 기술력과 융통성을 통합하여 많은 업무들이 ‘다행히도’ 집에서 진행하는 데에 큰 문제가 없을 뿐 더러 적응하다보면 가족과의 시간도 더 소중하게 여겨질 것이며 더욱 시간을 활용하는 효율을 배워나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세상이 어지럽더라도 맡은 일에 대해 꾸준히 진화하는 업무 환경에 적응하는 여러분들이 다가오는 미래 사회에도 큰 기여를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Zoom calls from home, a big part of adjusting to the new normal.
Photo by Chris Montgomery on Unsplash


온라인 프레젠테이션과 Zoom 화상 연결시 사용할 수 있는 저렴한 마이크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집에서 작업하거나 회사 업무를 재택으로 진행할 상황이 점점 정상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학급 친구들과 직장 동료들과 소통하기 위해 화상 연결을 통한 회의를 여러번 경험하셨을 겁니다. 이러면서 느끼게 되는 부분 중 하나는 더 이상 노트북 컴퓨터나 태블릿 PC의 마이크가 그닥 깨끗한 음질을 전달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경험하셨을 겁니다. 조금 더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 새로운 마이크를 장만하려 결정한다면 어떤 마이크를 선택해야 할 지 살펴보겠습니다.

편의에 최적화된 USB 연결 마이크

USB로 연결하는 마이크는 대부분 평균 이상의 음질을 자랑하며 연결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기에 편의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자주 이동하거나 큰 자리를 차지하지 않는 마이크로서 TKGOU Ture 플러그 앤 플레이 홈 스튜디오 USB 마이크 정도로 충분합니다. 아마존 같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맥 (Mac)운영체제 및 모든 컴퓨터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기능 역시 간편하며 자체 음소거 버튼이 있어서 필요시엔 빠르게 음소거 할 수도 있습니다.

A person sits at a desk with a simple USB mic connected to a boom arm using a PC and enjoying one of the best budget mics.
Photo by ConvertKit on Unsplash

깨끗한 음성을 위한 선택: 컨덴서 마이크

음질이 가장 우선시 된다면 컨덴서 마이크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컨덴서 마이크는 녹음 스튜디오 환경같은 전문적인 공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일부 잡음을 억제해주며 화상 회의시 불필요한 잡음들을 빼고 온저히 내 목소리만 감지해주기에 듣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도 편리합니다. 블루 예티 제품의 마이크는 다수 인원의 화상 회의시 사용되는 산업 평균이 되어가고 있지만 가격대는 만만치 않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예산이 제한되어 있다면 블루사의 스노우볼 마이크도 괜찮습니다. 약간의 레트로 감성이 있으며 음질에서는 뒤쳐지지 않는 제품입니다. 화상 회의 전용 마이크 MTFY 회의용 마이크도 있으며 이 특수한 마이크는 다방면 방향의 음성을 모두 감지하는 기술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가격도 괜찮은 선에 놓여 있습니다.

즉 Zoom, Discord, Skype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할 땐 Yeti 마이크가 괜찮습니다. 하지만 가성비를 고려하자면 Blue Snowball이 가장 적합합니다. 물론 현재 작업의 환경, 예산의 제한등을 잘 따져본뒤 본인에게 알맞는 마이크를 선택하는 것이 최고입니다.

A headset microphone sat on a desk next to a laptop is one of the best budget mics.
Photo by Petr Macháček on Unsplash

가장 편리한 헤드셋

헤드셋은 콜센터 직원들이나 게이머들만의 고유물이 아닙니다. 헤드셋을 착용하므로서 주변 환경 잡음을 최소화 하고 구성 인원들의 목소리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야외 혹은 도심에 살고 있다면 더욱 추천하는 바 입니다. 마이크가 연결되어 있는 헤드셋을 구매한다면, 마이크 + 이어폰을 동시에 구매하는 격이 되므로 이 역시 가성비 면으로서 추천하는 조합입니다.

헤드셋의 종류도 다양합니다. 잡음 제거를 최적화 하게 해주는 Nigecue PC USE 노이즈 캔슬링 헤드셋 같이 마이크도 꽤 괜찮은 헤드셋을 추천합니다. 오랜 기간동안 착용하더라도 편리한 착용감을 자랑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마이크와 헤드셋을 선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재택근무를 위한 특정 장비의 구성 및 업그레이드를 관련한 가이드도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