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콘텐츠: 게임 그 이상의 것

인터넷 방송에서 내 게임 실력을 선보인다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은 시대가 되었지만 내가 원하는 시간에 내가 원하는 시청자들이 항상 모여야만 한다는 현실적인 제한 때문에 굳이 생방송으로 내 게임 실력을 보여주지 않아도 언제든지 녹화하여 내가 원하는 시간 또는 대중적으로 일반인들이 활동하는 시간대에 자유롭게 유튜브 같은 플랫폼으로 업로드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리하여 생방송, 즉 실시간 영상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게임 외의 여러 가지 장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팟캐스드 (Podcast)

팟캐스트는 라디오 방송과 비슷한 개념으로 오래전부터 인터넷이 가정집에 보급되었을때부터 있었던 콘텐츠입니다. 한가지 주제를 정해서 해당 주제를 가지고 스튜디오에서 전문가들이 직접 만나서 토론을 하거나 방송인 한명이서 실시간으로 채팅창이나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을 보고 직접 소통할수도 있다는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최근에 스카이프는 NDI 신호를 호환하게 되어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같은 방송 프로그램에 미리 준비해놓은 방송 오버레이 안에 화상 통화로 인터뷰할 인물의 카메라 화면을 그대로 불러와서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유튜브 영상에서 한글자막을 켜서 시청하세요!

실시간 시청자들이 있는 팟캐스트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소통과 정보교류입니다. 곧바로 답변과 토론을 진행하거나 알맞은 반응으로 호응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원하는 주제를 가지고 전문가들을 포함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과 유연하게 대화할 수 있습니다.

음악

실시간으로 음악을 방송을 통해 연주하는 것은 연주자 바로 옆에서 연주되는 곡을 듣는 것과는 매우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주자의 집에 수십, 수백 명의 사람들을 강제로 초대하여 들일 수 없으니, 단순히 카메라 앞에서 연주하지만 그만큼 내 음악을 들어주는 여러 명의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피드백과 신청 곡을 요청하는 분위기도 재미있게 연출할 수 있습니다. 중간중간 쉬면서 질의응답을 하거나 음악 외에 다른 매력도 유연하게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피아노를 잘 치시는 숑아님음악을 잘 다루는 게임 엔터테이너 조매력님이 이미 음악 콘텐츠로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놀라운 클라스의 피아노 연주를 하시는 숑아님
루프스테이션을 전문가답게 다루는 조매력님

악기로 연주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직접 작곡을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가 하면 리믹스 음악을 가지고 현직 DJ분들이 연습하시는 방송도 종종 있습니다. 이미 집에서 작업하시는 분들이 인터넷 방송과 작업을 접목하게 되면 다양한 경험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보드게임

국내에서도 인기 있는 보드게임 전문 카페가 있는가 하면, 보드게임을 주제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물론, 이미 컴퓨터나 모바일로 즐길 수 있는 보드게임을 주제로 한 게임들이 많지만, 실제 제품을 가지고 한 테이블에 둘러앉아 음료수와 과자를 먹으며 어깨를 비비며 할 수 있는 보드게임들도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가지고 게임에 임한다면 시청자들도 어느덧 몰입되면서 재미있는 소통의 장을 펼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유튜브 및 트위치로 동시송출을 진행하는 보드게임 전문 채널, 보드라이브

미술

미술은 역사적으로도 잘 알려진 누구나 제약 없이 본인이 가장 잘하거나 좋아하는 예술 활동을 하는 행위입니다. 물론 혼자만의 작업실에서 남의 방해를 받지 않고 집중하며 하는 행동일 수 있으나, 원한다면 언제든지 시청자 앞에서 소통하며 좋아하는 글, 그림, 조각 등 다양한 미술 활동을 펼칠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만화 케릭터, 애니메이션의 배경 작화, 웹툰 등 수많은 미술 활동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방송인들과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있습니다.

최근 들어 현대 미술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갤러리에서도 온라인 갤러리 투어를 접목하여 시청자들이 외출하지 않아도 저렴한 비용의 입장료만 내면 역사적인 화가들의 작품부터 국내 화가 유망주들의 작품 등을 감상할 기회들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미 인터넷 방송은 다양한 예술 활동의 공간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내가 잘하는 것, 내가 좋아하는 것, 도전해보고 싶은 것 모두 인터넷 방송과 접목하여 경험하면 시청자들의 다양한 시선과 의견들이 어쩌면 나의 미래의 방향을 잡아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미술 #음악 #예술 #보드게임 #웹툰 #만화가 #피아노 #보컬 #유튜브 #트위치 #크리에이터 #스트리머 #라디오 #팟캐스트

Mixer Account Migration for Gamecaster

Like all of you, we here at XSplit were taken aback by the recent news of Mixer shutting its doors in the coming month. We understand the time and hard work you and everyone else has put into the platform, and appreciate the effort it takes to grow a community. It’s genuinely hard!

We want to make your transition as painless as possible; whilst you consider which platform is best for you. Secure your account today to ensure your Stream Events, Scenes, Tips and everything else are all safely under your control! It’s really simple:

  1. Head to xsplit.com/user/forgot-password.
  2. Enter the email address associated with your Mixer or Microsoft account and click ‘Send Reset Instructions.
  3. Check your inbox for an “XSplit Change Password Request” email from no-reply@xsplit.com. If you do not receive an email within several minutes, please check your spam or whitelist no-reply@ and try again.
  4. Follow the link within and reset your password. You will now be able to login with an XSplit account using the same email address and password you just set.

Yes, this looks like a simple password reset but this allows us to ensure your account is not locked to Mixer when it closes its door and therefore transfers your account settings from Mixer to your desired platform of choice.

Should you have any issues resetting your password (for example, you no longer have access to the email address you used to sign-up with), please reach out to our 24/7 Support Team at xsplit.com/support and we’ll work together to resolve your problems.

We sincerely extend our thanks to Mixer and the wider community for making something so special! ♥ Mixer was a platform of innovation that always pushed the boundaries of streaming, bringing us real-time interaction, unique viewer engagement tools, and redefining what it means to be a community. 

The XSplit Team

The Evolution of Live Streaming Software

As someone who’s been working in this space for quite a bit, it feels like live streaming has existed in eternity. Every kid and his grandparent are certainly familiar with it, and a lot of non-tech companies have started utilizing this in one way or another. It’s an industry that has grown quite rapidly yet one that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coming years.

Without a doubt, the abundance of live streaming software that helps people get started with streaming or generally creating content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making it a mass-consumer multi-billion dollar industry that it is today.

So why don’t we take a quick trip down to memory lane and see how live streaming software and various apps have evolved over the years which contributed to how the whole landscape looks right now. Keep in mind the sequence is not entirely chronological unless stated explicitly. Also, this is from my point of view so if I missed anything or stated something incorrectly, feel free to sound off in the comments section below.

The Ancient Days 

I’m sure someone can correct my factual errors by citing an even more ancient way of doing a live stream but let’s start with the one that most people can at least recognize. Flash Media Live Encoder. 

At the time, this one was the gold standard if you want to produce any live stream content. Incomplete? Yes! Confusing user interface? Oh definitely, but who cares! FMLE got the job done for the most part and that’s all that matters, especially at the time!

flash media live encoder

All you have to do is get another tool that allows you to capture your screen, and you’re good to go. If you were part of that era, I’m pretty sure you’ve heard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screen capture tools: 

  • VH screen capture
  • Dxtory
  • Camtasia 
  • SCFH DSF

Now you have screen capture software and a live encoder you’re pretty much good to go!

Around this same time, perhaps even earlier, an all-in-one live streaming software called Wirecast was already available but the 2-prong more complicated approach was still the most popular because it was free. Not to mention Wirecast used to cost a fortune so it’s definitely not for an average Joe.

The beginning of where we are now

Inception of XSplit

Even though the development of XSplit started as early as 2009, it only started to become available in a beta program sometime in 2010, and it went out of beta 2 years after.

xsplit beta

In some ways, XSplit Broadcaster was like a combination of the FMLE + screen capture tool but much easier to use and also more feature-packed. It’s easily also a better version of Wirecast which people felt was even more complicated to use despite supposedly being an all-in-one solution. Those and many other factors contributed to the massive popularity of XSplit which in our biased opinion is a true pioneer in the streaming software space.

The birth of XSplit Gamecaster

XSplit Gamecaster was another streaming application that came out shortly after as a big portion of the market wanted an even more straightforward app where all they would have to do is start the app, hit the stream/record button, and go back to playing. This coincided with the rise of portable gaming workstations and it didn’t take much time before the app was bundled in a lot of the higher-end gaming laptops which made it easier for an aspiring gamer and creator to get started.

While there are obvious similarities, both XSplit apps fill vastly different needs of the market. XSplit Broadcaster is more catered to those who are looking to do more than just sharing their gameplay content whereas Gamecaster is aimed at the opposite group which puts more premium to ease of use. Those who want to stream, but still focus more on the game

As the industry matured, users began dictating and shaping which features were considered to be the absolute minimum for streaming applications. This made it almost unacceptable for an app to be too simple and devoid of functionalities outside of the basic streaming capabilities and what used to be the baseline scope of streaming got bigger and bigger. 

Ascension of OBS & other apps

I’m not going to bore you with OBS’ history because quite frankly, you’ll be served better with their Wiki entry so go read that instead. What I can write here is how the product started and evolved from my personal perspective.

OBS Classic

My first knowledge of OBS came in while managing the old XSplit Forum. Naturally, you get a lot of users talking about something no matter how big or small the feature is, and that’s when someone mentioned it. I forgot the exact sentence as it’s been almost a decade but I felt a serious major player had entered the space.

And the rest, as they say, is history. OBS grew into this larger than life endeavor that truly shaped the industry from thereon. In case it’s not obvious yet, we like OBS and we’re great friends with them (even though they like to feature us on their April Fools jokes!).

Apps utilizing OBS’ core

Streamlabs OBS and Stream Elements are two popular apps that were enhanced by the open-source project that is OBS. They utilized OBS differently but what they’ve both nailed is putting their own respective imprints to their apps by folding in some of their own specializations. 

I’d say their biggest advantage is already having that pretty much the same demographic they’re catering to so it’s more or less just consolidating their core functionality and adding OBS’ streaming capabilities to enhance the overall experience.

Other Solutions

Other notable but apps outside of XSplit and OBS include Vidblaster, VMix, Lightstream Studio, and NVIDIA Shadowplay. They all came out at varying periods of time and all of them are still being actively developed while continuing to have their own healthy user base.

Apps from Streaming Services

If you have a platform that hosts live streams and other forms of recorded content, it just makes sense that you also make the software that makes it easy for people to stream specifically to your service. Livestream and Ustream were the first to do this with their respective apps coincidentally both named Producer while Twitch was the most recent in this category.

Twitch Studio

Quite possibly the biggest advantage of this type is its direct integration with the platform. Naturally, the biggest drawback aside from being limited to the service is it also tends to be more barebone compared to other fully-fledged solutions in the market since they cater to the newer and intermediate types of audience.

Hardware-based

While clearly not in the same boat as every other solution mentioned so far, hardware encoders are worth a mention with how they fit in the grander scheme of things. They are aimed more towards the higher-end professional productions as it has capabilities that extend beyond the normal software-based counterpart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a hardware encoder like Tricaster versus a typical mainstream software like XSplit is that the former is more rigid and less flexible. There’s not a lot of customizations that can be done on the fly and there’s a steeper learning curve. On the positive side, you cannot beat its performance and reliability, as it should, being a physical hardware box whose sole job is to encode.

Did I mention yet it’s super expensive? Being an actual appliance, they are more complex in nature, and oftentimes require expertise in getting set up which in return adds up to the overall cost. Some of the recognizable hardware-based solutions available are Tricaster, Teradek, Boxcaster, and Niagara Video.

The Bright Future of Live Streaming

With so many options available currently, it’s hard to find a legitimate excuse NOT to get started. We often even tell users a lot of the available options today are good because the market is ultra-competitive. Great competition drives innovation, and ultimately everyone wins! 

The rise of exceptional options not only pushed us to do better but also allowed us to branch out a little by focusing on areas we feel are lacking or can be improved. XSplit VCam and Express Video Editor are two of those apps and there will be more to come. 

That doesn’t mean we’re moving out of the streaming space. As a matter of fact, we have our hands full in continuously improving XSplit Gamecaster and making it the best when it comes to recording and live streaming gameplay content in the easiest possible way AND without shortchanging you in features.

The same for XSplit Broadcaster which is now getting some big updates and refinements. We’ve really upped our game and put premium focus in providing a platform for users to speak and more importantly listening to what’s out there.

All in all, it feels the evolution of the live streaming software landscape also includes our own evolution as we’ve been around since the infancy of this hobby and have gone through some of the highs and lows together. All this great innovation only serves to provide a bright future for content creators and we couldn’t be more excited! 

Zoom, 행아웃, 디스코드에 XSplit 연동

XSplit Broadcaster는 인터넷 방송과 영상 녹화 외에도 다양한 화상 채팅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화상 채팅 소프트웨어에서는 오디오 입력 장치를 마이크를 선택하는 부분은 엑스플릿 방송 프로그램들과도 같습니다. 다만 동영상 장치는 보통 로지텍의 c920, 브리오, 스트림캠 같은 웹캠을 선택할 수 있지만, 실행하고 있는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로 연결하면 기본 설정의 캠 화질이나 화면 공유 품질을 더욱 상향시킬 수 있습니다.

온라인 회의 사용 시 카메라 장치를 XSplit Broadcaster로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에서 캠 소스를 추가해야 합니다. 그리고 원한다면 추가적인 요소들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에서 송출이나 녹화를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실행하고 있는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에서 캠 소스를 추가한 다음 전체 화면으로 맞춰진 구성.

구글 행아웃에서도 똑같은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구글 행아웃을 사용하여 그림 그리시는 작업을 하시는 분들이 사용하실때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에 그림 또는 디자인 프로그램을 캡처하신 뒤 구글 행아웃에서 캠 설정을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로 잡아서 할 때 화면 공유 설정을 사용하는 것 보다 더욱더 부드러운 프레임으로 보인다는 제보가 있었습니다.

구글 행아웃을 브라우저로 실행 후 환경설정에서 Video
장치를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코드에서도 마찬가지로 음성 및 오디오 설정 창에서 카메라 장치를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설정은 특정 사람들과 함께 화상통화를 할 때만 적용됩니다.

디스코드에서 화상 통화 기능을 사용할 시 쓸 수 있는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적용법.

최근 들어 디스코드에서도 원하는 서버 내에서 해당 서버 사용자들에게 내 게임 화면을 방송할 수 있는 기능도 생겨났습니다. 이때는 무조건 디스코드에서 감지한 게임들만 전체화면으로 송출이 가능하지만 이를 우회하는 방법으로는 엑스플릿을 감지된 게임 목록에 강제로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디스코드의 게임 활동 메뉴 상단에 있는 ‘게임 직접 추가하기’
엑스플릿을 게임 목록에 추가하면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 화면을 디스코드 서버에 송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른 여러 화상 통화 애플리케이션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를 적용하여 일반 캠 화면의 성능이나 화질을 상향시키거나 추가적 연출이 가능하게 됩니다.

인터넷 방송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엑스플릿 브로드캐스터를 사용해보세요!

#엑스플릿 #엑스스플릿 #XSplit #디스코드 #Discord #Zoom #줌 #행아웃 #Hangouts #구글

In support of #BlackLivesMatter and how we will do better

To our community,

All across the world battles are being fought. Humanity faces a global pandemic, and the fight against inequality and systemic injustice rages on, with protests taking place on city streets around the world. 

One of the things recent events have shown us is that every voice counts and adds to the amplification of the message for change. We now realize that our silence could be considered complicity, and with that realization has come much introspection. We are taking a long hard look at ourselves and determining what it is we can do better.

As a company based out of Asia, and with most of our staff working from our development center in the Philippines, we have typically kept quiet and focused our efforts locally on the wellbeing of our employees and their families, but we need to do more. Both for our country, and the global community. It is with this in mind that we will be undertaking a number of initiatives to provide ongoing support to foundations and charities, both close to home and around the globe.

In the shorter term and in light of ongoing events, we have made a donation to the NAACP to support the fight against inequality and systemic racism and injustice, as well as a donation towards UNICEF PH, to aid Filipinos across the country providing them with essential medical support and supplies during the pandemic. We have also set up an internal working group to focu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initiatives and to ensure that we become more proactive, rather than reactive when it comes to our impact on, and support of, social issues.

We are still learning how best to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and social impact, as opposed to just another empty corporate announcement. We are taking this time to listen carefully while continuing to discuss more meaningful contributions we can make over the coming period, including amplifying and promoting the voices of more diverse creators, as well as using our platform to disseminate important information and give support to other charities and foundations. We hope you will continue with us on this journey, we will be sure to keep you updated.

유튜버 컨텐츠의 한계점은 어디까지일까?

어떤 분야의 컨텐츠든, 인터넷 방송에서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에는 분명히 한계가 있다.

아무리 끊임없이 아이디어가 샘솟는 창작자라도, 한계를 맞이하게 된다. 힘껏 노력하여 방송을 어느 궤도 이상으로 끌어올릴 수는 있으나, 언젠가 자신의 한계에 도달했음을 느끼게 된다. 내가 내 분야에 대하여 얼마나 도통한 달인이든 간에 시청자들이 더 이상 내 자신의 어떠한 것도 신선하게 받아들여주지 않는 날이 분명히 오게 된다. 좀 더 정확히 지금까지 한 말을 정리해 보자면, 한 개인이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컨텐츠에는 한계가 있다는 말이다.

역치‘라는 단어가 있다. 역치란 생물이 자극에 대해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의 세기이다. 생물은 같은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을 경우 역치가 올라가, 더 큰 자극을 주기 전에는 자극을 느끼지 못하는 ‘감각의 순응’이 나타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방송에도 이 ‘역치’와 감각의 순응이 존재한다. 본래 ‘인터넷 방송’이라고 하면 ‘자극’의 상징과도 같은 미디어가 아니던가?

내 자신을 상품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업을 진행할 때, 소비자, 즉 시청자들이 ‘나’라는 상품에 대하여 느끼는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을 경우 또한 역치가 올라가게 된다. 나의 리액션과 컨텐츠가 사람들에게 주는 감흥이 떨어지는 것이다. 대부분의 인터넷 방송인이 장기 방송시 느끼는 피로감의 원인이 바로 이것이다(사실 장기 방송이 가능할 정도로까지 방송을 키워냈으면 이미 행운아라고 불러도 될 정도일 것이지만). 나는 이전에 방송을 할 때보다 더욱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데 시청자들의 반응은 영 시원치 않을 경우, 도저히 방송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

어떤 방송인은 장기간 휴방(방송 활동 휴식)을 하기도 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기행과 일탈을 방송에서 보여줘 더욱 구설수에 오르기도 한다. 세상 모든 문제가 그렇듯이, 이러한 문제 또한 해결책이 존재한다. 내 자신의 감상과 느낌을 전달하는 것에 대해 한계에 도달했다면 내 자신의 것이 아닌 다른 새로운 관점을 방송에서 보여주면 된다. 좀 더 쉽게 풀어 얘기하자면, 방송에 다른 사람을 출연시키는 것이다.

이미 방송계에서 게스트 방송은 전혀 새로운 단어가 아니다. 유명 배우가 자신 본인을 연기하는 것를 지칭하는 카메오 출연이란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00년쯤 전이며, 수많은 인터넷 방송에서 잠깐 자신의 스튜디오에 방문한 게스트를 출연시키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제안하고자 하는 개념은 이런 일회성으로 그치는 게스트 출연이 아니라, 자신의 방송 세계관 자체를 확장해 가는 것이다. 아직도 이해가 잘 가지 않을 수 있으니, 몇몇 방송인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강경호, 배명호, 김동현 등의 인물을 배출한 것으로 유명한, 부산 팀매드 체육관의 관장인 양성훈 감독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인 양감독TV는 자신이 지금까지 자신의 분야에서 쌓아온 경력을 통해 만난 인물들을 자신의 채널에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전문분야(격투기)에 대한 사람들의 갖가지 궁금증을 해결해 보는 코너와, 일반적 예능 진행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오고 있다. ‘과연 주먹 안에 라이터를 쥐고 때리면 더 위력이 세질까’와 같은 조금은 유치하지만 누구나 한 번쯤 가져볼 수 있는 의문을, 격투기 선수들의 전문성을 통해 해설을 해줄 수 있는 차별화, 채널의 프리미엄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정말로 라이터가 주먹세기와 관련이 있을까?
양감독tv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을 알려드림’과 같은 일반 해설채널과 다르게, 좀 더 특정 분야에 특화되어 있다고 보면 될 것 같다. ‘그것을 알려드림’에서 ‘헤비급 선수는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의 바디 킥을 버틸 수 있을까’와 같은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선 매우 많은 사전 준비가 필요하겠지만, 양감독TV에서는 상대적으로 해당 영상을 준비하기가 매우 쉽다. 방송에 등장하는 출연진들에게도 새로이 스트리밍을 시작하기 쉬운 환경을 마련해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기존의 업무 관계에서 알고 지내던 지인들이 아닌, 방송에서 만난 사람들을 출연시키며 방송 세계관을 확장하는 경우도 있다. 해외선물거래 전문 방송을 진행하며 실버버튼 수령을 달성한 유튜브의 ‘박호두 해외선물’채널은 자신의 후원자와 시청자와 방송스태프에게 도움을 받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후원자, 시청자, 방송 스태프를 만나는 것을 컨텐츠화하여 제작함으로써 실제 컨텐츠 기획 제작의 측면에서 이득을 보고 있고, 이후 자신이 기획한 컨텐츠에 추가적 인력이 필요할 경우 이를 다양한 적재적소에 맞게 활용하고 있다.

이런 인적 자원을 활용하는 경우 방송에서 다룰 수 있는 컨텐츠가 엄청나게 다양해진다. 자신의 방송 매니저의 자택을 방문해 주식 종목 상담을 하는 것도 컨텐츠요, 유튜브 편집자에게 돈을 빌리는 것도 컨텐츠, 소위 ‘큰손’을 방문해 큰손의 공장에서 하루 일을 돕는 것도 컨텐츠가 된다. 일부 시청자들은 여러 매력있는 캐릭터가 등장하기로 유명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 비교하여 ‘박호두가 어벤져스를 모으고 있다’고 비유할 정도이다.

다음 방법은 이미 궤도에 오른 방송인들이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이다. 대형 방송끼리 시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른 방송인들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하스스톤 게이머로 유명했던 유튜브의 ‘rhdgurwns(공혁준)’ 채널은 게임 채널로 출발했지만, 점차 스트리머 본인의 삶을 컨텐츠로 삼는 것으로 컨텐츠를 확장하여, 현재는 운동 스트리머로 유명한 ‘피지컬갤러리’ 채널의 ‘김계란’과 본인의 다이어트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경우는 기존에 존재하던 대형 채널끼리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상대 스트리머와 서로 부족한 면을 채우며 스트리머에게 부족했던 방송능력 분야를 보충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과연 어떤 조건이 달성되야 컨텐츠가 종료될지 궁금하다.
공혁준 유튜브에서 지금까지의 일정을 확인 할 수 있다.

여러 차례 강조한 말이지만, 인터넷 방송인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협력’이다. 인적 자원이 가장 중요한 핵심인 인터넷 방송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에 사용할 새로운 사람, 즉 출연진을 찾아내는 것은 잊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채널들은 각각 기존에 업무 관계로 알고 지내던 지인들을 출연시키는 방법, 방송을 통해 알게 된 새로운 지인을 출연시키는 방법, 타 스트리머와 연계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각자 나름대로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인간관계는 6단계만 거치면 지구의 대부분 사람과 연결될 수 있다는 사회 이론인 ‘6단계 법칙’이 있다. 인터넷 방송 또한 다르지 않다. 내 일을 도와 줄 사람이 필요하다. 장기적인 성공을 위하여, 타인과 연계하는 것은 생존에 있어서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것을 기억하여야 한다.

특히 스트리머라면 더욱.

#유튜버 #컨텐츠 #엑스스플릿

Things to stream: More Than Just Gaming!

Streaming can seem like it’s a pursuit purely for showcasing your skills in the videogame world but more and more people have seen it for what it is, a medium just like television with the ability to go live whenever and wherever you are. Got an idea you think might work in a live environment? Live streaming may well be the avenue for it! Looking to diversify what you already do on your channel? We’ve got some ideas for you!

Podcasts

Live recordings of podcasts have become more and more common and a big factor in this is how much easier it’s becoming! With programs like Skype supporting NDI and XSplit Broadcaster not only supporting it but coming ready with pre-made templates to get you started it’s never been easier!

One of the big advantages of taking your podcast live is the ability to answer live questions directly from the audience who can react in real-time to what you’re talking about. Or, as some people do, just make it a live talk show! Interview people, discuss the big topics of the day, and more! The possibilities are endless with what you can do!

Music

Streaming live music might not be the same as being live in the room it can bring a different kind of atmosphere that you can only get on a live stream. It honestly doesn’t get more intimate than an artist playing acoustic, to a track or a full electronic set with the chat getting excited when you pull a deep cut out. Also, why not take some questions from the chat while you’re there? Discuss the process of the songs creation, answer questions, and connect directly with your audience! Devin Townsend is one artist who has delivered some unique streamed concerts and also shared how he connected everything together!

Not only that, but we’ve seen a big increase in artists making new songs and showing the process while live streaming. Making a beat or a full song from scratch not only shows how you do your thing but it also involves the community in where the song goes and you have the full story of the song from start to finish, together. Mike Shinoda has been doing brilliant streams in this vein lately, coming up with a theme from the community and making a song around it!

Tabletop

Using the same NDI setup you used for streaming a podcast you could create a live tabletop show! Dungeons and Dragons is the most commonly used ruleset, we’ve even recently seen The Guild get back together for some live streamed games. Felicia Day, in fact, recently spoke to us about how to get the best out of streaming Dungeons & Dragons.

You can also make your own games, like John Robertson, a comedian known for The Dark Room which has successfully translated to live streams. It’s a choose your own adventure where John is the adventure and the chat chooses what happens next to escape the Dark Room. These streams are not only hilarious but they have the feel of a big event where the narrative and story of the night is only the way it is because of the choices you and the rest of the chat have made!

https://www.youtube.com/watch?v=gpAiW6uy_iY

Live Art

Creating art, both digital and physical can be a great way to connect with your audience while you work on something new! Photoshop or similar programs are easy to capture in XSplit so your audience can, much like what we talked about with music, can see your process while you chat or take requests on what you should draw next! I’ve been a big fan of Doig and Swift, an artist couple who have been doing daily morning streams of what both of them are working on, all on the same screen!

Physical art also translates well in its creation to a live stream, from pottery, making DIY style art with things you’ve found to electronics are all fascinating to watch and learn from! Beyond teaching, you could slowly build out an exhibit in your room or garage that the chat has been a part of the creation. Every week the room evolves and you could use it as a good opportunity to learn new skills along with the chat that you apply to the art you’re creating! All you need is a camera with a mic going into XSplit and you’re ready to go!

We hope this gives you some inspiration for other things you could stream to your audience or just open up the idea of what live streaming can be. As we said at the top, think of it like a medium and the possibilities are almost endless!